테일즈런너

OFFICIALONLINERacing스마일게이트홀딩스

공략게시판

[기타] 가속도와 추진력에 대한 각각의 개념과 그 차이. [1]

  • RecordTMI
  • 2020.03.05 07:50 (UTC+0)
  • 조회수 812

 유저들이 잘 모르고 있었거나, 혹은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들을 정확하고 쉽게 알려주기 위해서 쓰는 글이지만 'TMI'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그 이유는 사실 이런거 몰라도 테일즈런너 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기 때문. 한번 보고 잊어버리거나, 알아둬도 손해는 없을 것이므로 개별적으로 볼 사람은 보고 안 볼 사람은 뒤로가기 하도록 하자. 



가속도
(加速度, Acceleration)발음듣기
[명사] 1. 일의 진행에 따라 점점 더해지는 속도. 또는 그렇게 변하는 속도. 2. 단위 시간에 대한 속도의 변화율.


추진력 
(推進力, Driving force)발음듣기

[명사] 1. 물체를 밀어 앞으로 내보내는 힘. 2. 목표를 향하여 밀고 나아가는 힘.


출처 : 네이버
* 다룰 내용들의 개념인데, 사실 테일즈런너에서의 가속도, 추진력과 일상생활 즉 과학, 수학(대수학 포함)에서의 가속도, 추진력은 다르기 때문에 그 부분 인지하고 보는 게 편하다. 
** 테일즈런너에서의 최고속도, 가속도는 속력에 방향을 더한 벡터값이 아닌 그저 유저들이 보고 알기  쉽게 그냥 '속도'라는 표현을 쓴 것이기 때문에 그냥 넘어간다. 굳이 테일즈런너에 과학, 수학(대수학)을 접목시키자면 최고속력, 가속력이 맞는 표현이고 방향은 우리가 조작하는 방향키이므로 이 부분에서 태클은 받지 않겠다. 


 [ 가속도 ]
 먼저 가속도 하면 테일즈런너에서 가장 초기의 능력으로 최고속도, 힘, 컨트롤과 같이 있었던 흔히 '스텟'들 중 하나로 불린다. 하지만 가속도를 제외한 스텟들은 절대적이지만, 가속도는 상대적이다. 좀 더 정확히 최고속도, 힘, 컨트롤 이 셋은 절대적, 즉 최고속도13, 힘15 등 절대적인 수치이지만, 가속도의 정의는 "가속도가 높을수록 최고속도에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진다."로 '높을수록'이라는 표현으로 정확한 수치가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인 것이다. 그 이유는 테일즈런너에는 '대시량', '대시점프' 등 기본적인 것들이지만 쓰는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인 가속도 관련 기술이나 용어가 많기 때문이다. 대부분 아는 사실이기 때문에 기술이나 용어에 대한 설명은 넘어간다.
 또 '최고속도'에 대해서 다룰 건데 왜 하냐면 가속도를 설명한 이상 안 짚고 넘어갈 수 없는 부분이다. 일단 최고속도를 2가지로 나눌건데 대시를 누르지 않은, 걷는 상태에서의 최고속도를 [최속1], 대시를 눌러서 가속이 완전히 붙은 상태의 대시 최고속도를 [최속2]라고 하겠다. 위 문단의 가속도의 정의에서의 최고속도란 [최속2]에 해당하는데, 가속도가 높을수록 [최속2]가 높아진다는 말 앞에 생략된 말이 있다. 이게 가속도와 추진력과의 차이인데, 생략된 말까지 합쳐서 가속도를 정의하자면 

            '[최속1] 상태에서 가속도가 높을수록 [최속2]까지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진다.' 

이다. 
 예를 들어 공격 아이템 피격, 맵 장애물 걸림, 착지대시 실패 등 [최속1] 상태가 아니라 [최속1] 상태보다 속도가 줄어든 상태라면, [최속1] 상태가 되기까지 회복하기 위해 좀 더 걷든, 대시를 써서 걷기보다 [최속1] 상태에 빨리 도달하든 어떻게든 [최속1] 상태로 만든 후에야 가속도를 이용하여 대시점프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최속1] 상태가 되기까지는 가속도는 관련이 없다. 맵, 상황 등 다른 여러 변인이나 변수에 의해 달라질 순 있지만 개념 자체나 실험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 추진력 ]
 테일즈런너에서 부스터가 나오면서 '대시 최고속도 증가'와 같이 생긴 개념이다. 참고로 추진력은 신스텟답게 가속도 + 추진력 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그 이유는 진짜 추진력 안에 가속도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가속도의 개념을 거창하게 설명해놨기 때문에 여기선 크게 다룰 내용이 없는데, 중요한 것은 가속도에는 없는 것이 추진력에는 있다. 그게 바로 가속도 정의 마지막 문단에서 나온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회복하는 속도'이다. 
 공격 아이템 피격, 맵 장애물 걸림, 착지대시 실패 등의 상태에서, 즉 [최속1]보다 느린 상태에서의 속도가 추진력이 높을수록 빠르게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가속도와 같다고 흔히 혼동할 수 있는데, 여기까지 뒤로가기 하지 않고 봤다면 그럴 일 없다. 표로 정확하게 정리하자면 


                 개념                        가속도                             추진력

                 능력               높을수록 [최속1] 상태에서       가속도 + 높을수록 속도가 
                                     [최속2] 상태까지 도달하는       감속됐을 때 원속도(최속1)
                                     속도가 빨라짐                    까지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짐

와 같다. 
 하지만 테일즈런너에서는 추진력에 포함되어 있는 가속도의 수치를 정확히 제공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힌 알 수 없지만 사실 알 필요가 없는 이유는 추진력 자체도 가속도처럼 '높을수록'이 전제, 즉 상대적인 가속도과 개념이기 때문에 추진력 수치 그 자체를 가속도의 수치로 생각하면 된다. 사실 위 표가 이 글의 요점이고 저것만 보면 된다.

 #. 또 추진력에 대해서는 고등수학 극한에 대한 가정 ( 추진력이 무한대로 갈 때, 단대시점프를 할 때의 대시 소모량이 과연 원래 소모량부터...  ...1/무한대까지 줄어들고, 결국 0에 수렴하는가 ) 에 대해서도 이 글에서 다루려다가 보는 이의 이해가 어려울 것 같아 생략한다. 

댓글 1

  • images
    2020.03.05 08:46 (UTC+0)
    잘 봤어요 :)

공략게시판의 글

함께하면 좋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