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해체 분석] 염소 뱀서라이크, 킬링 타임으로 GOAT [13]
≪고트 서바이버≫ 스토어 링크
> https://store.onstove.com/ko/games/5111 <
안녕하세요, 마솽님입니다.
이번엔 고트 서바이버를 ≪게임 해체 분석≫하려고 합니다!
최대한 게임의 모든 것들을 맛보고 공략과 빌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그럼 일단 어떤 게임인지부터 알아야겠죠 !
뱀서라이크라면, 정신없이 써대는 스킬들을 보는 맛으로 하는 게임이죠.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거지?
하지만 몹들을 잘 잡고 있으니까 그것만 알면 됐지.
진짜 딱 이런 느낌입니다. 보통 뱀서라이크가 다 그런 식이니까요.
그런데 조금 특이한 점은, 저 마법진에 계속 서서 게이지를 채울 때마다
위의 카운트가 올라가며 떨어진 모든 골드를 수급합니다.
그리고 카운트가 다 차면 해당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방식입니다.
네, 원하신다면 일부러 카운트를 안 채워서 골드를 더 버시거나
진짜 극한까지 강화를 계속 당기실 수 있습니다.
저 게이지 차는 게 생각보다 빨라, 스테이지 하나는 거의 5분 안에 클리어합니다.
또한, 이 게임은 기존 뱀서라이크에서 좀 더 많은 빌드를 추구하려 노력했습니다.
그 부분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특성
이건 뭐 뱀서라이크 한 번 쯤은 해보신 여러분들이라면 다 아시겠죠?
게임 계속 하면서 모은 돈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입니다.
그럼 이번에도 티어를 매겨볼까요?
(티어의 기준은 우선적으로 찍어야 하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제 개인적인 내용입니다)
특성 | 티어 | 설명 |
---|---|---|
피해량 | 3 | 주는 피해가 증가한다. |
치명 확률 | 2 | 치명타 확률이 증가한다. |
치명 피해 | 2 | 치명타 피해량이 증가한다. |
스킬 가속 | 1 | 수치에 비례해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이 감소한다. |
스킬 범위 | 3 | 스킬의 범위가 증가한다. |
추가 시전 | 3 | 스킬이 한 번 더 사용될 확률이 증가한다. 100% 초과 시 추가 사용 |
생명력 | 3 | 최대 체력이 증가한다. |
방어력 | 2 | 수치에 비례해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
피해 감소 | 2 | 받는 피해가 고정적으로 감소한다. 방어력이 우선 적용됨. |
회피 | 2 | 수치에 비례한 확률로 공격을 받지 않는다. |
경험치 획득 | 2 | 경험치 획득량이 증가한다. |
이동 속도 | 1 |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
생명력 회복 | 1 | 3초마다 일정량의 체력을 회복한다. |
부활 | 1 | 체력 소진 시 횟수를 소모해 부활한다. |
레벨업 생명력 회복 | 1 | 레벨업 시 체력 일부를 즉시 회복한다. |
골드 획득 | 0 | 골드 획득량이 증가한다. |
리롤 | 2 | 선택지 변경 횟수를 얻는다. |
제거 | 2 | 특정 선택지를 이번 전투에서 제거 가능한 횟수를 얻는다. |
잠금 | 2 | 특정 선택지를 다음 선택지 때 재등장 가능한 횟수를 얻는다. |
획득 범위 | 2 |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한다. |
일단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골드로 강화하니까, 골드 수급이 빨라야겠죠?
우선적으로 골드 획득을 먼저 찍어줍시다.
그리고 공격 관련 강화는 굳이 우선적으로 챙길 이유가 없는 게,
이후 설명하겠지만, 이 강화들이 전투 내에서 그대로 나옵니다.
생존 관련은 지금 특성과, 전투 내 강화랑 수치 차이가 별로 없어요.
근데 공격 관련은 전투 내 강화 수치가 훨씬 높습니다.
(예를 들자면, 특성으로 스킬 범위 5% 씩 챙길 때, 전투 내에서는 한 번 렙업 or 상자 획득으로 40% ~ 120% 까지 땡깁니다.)
그래서, 특성에 골드를 투자하실 거라면, 생존 쪽을 우선적으로 챙기시는 게 낫습니다.
아님, 리롤 + 제거 + 잠금 기능을 사서 전투 내 강화를 더 좋은 걸 챙기시거나.
2. 캐릭터 선택
캐릭터가 무려 6마리의 염소가 있지만, 처음에는 맨 왼쪽에 있는 하얀 친구밖에 못 씁니다.
그리고 스킬 칸과 룬 칸도 처음엔 거의 해금이 안 되어 있습니다.
스킬은 총 6개를 가질 수 있고, 전투 내에서 렙업 or 상자 획득으로 등장하는 선택지에서 추가 획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스킬 칸을 해금하시면 미리 세팅하고 들어갈 수 있어, 선택지 여러 개를 미리 땡길 수가 있는 거죠.
(심지어 빌드를 미리 짜놓고 들어가는 게 참 좋습니다.)
그리고 그 밑 룬의 경우, 각 속성이나 특징을 더욱 부각시켜 줄 수 있는 효과들이 많습니다.
이게, 룬 개수가 너무 많아서 모두 풀기에는 분량 문제가 있어, 제가 사용하는 빌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3. 추천 빌드
- 캐릭터 : 제룬 -
둔해짐 디버프를 주로 사용하는 암흑 빌드입니다.
왜 암흑 빌드냐? 하면 적들을 느려지게 하는 둔해짐 디버프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모든 디버프에 대해 얘기를 드리겠습니다.
축복은 일정 중첩 시, 내 생명력을 회복합니다.
화상, 출혈, 독은 말 안 해도 아실 거라 생각하고,
감전은 일정 중첩 시, 큰 피해를 즉발로 입힙니다.
일단 중요한 점은, 딜 관련 디버프들은 그렇게 안 셉니다.
그리고, 체력 회복의 축복은 다른 회복 특성 하나 찍으면 충분히 커버가 됩니다.
근데 어디서도 커버가 안 되는 유일무이한 슬로우 디버프?
뱀서라이크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적들이 내게 못 다가오게 하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근데 또 기본 체급이 약한 것도 아닙니다. 많이 높습니다.
- 스킬 구성 : 암흑 -
일단 암흑&둔해짐 태그만 있는 스킬 4개를 챙겨주고,
물리가 껴 있지만, 둔해짐 스택 비례 깡뎀을 주는 스킬 하나를 추가로 껴줍니다.
일단 왜 태그를 최대한 적게 맞춰야 하냐면,
전투 내 강화 선택지를 얻을 때, 무슨~ 속성의 피해량 증가 이런 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선택지의 가능성을 최대한 좁혀두는 게 좋습니다.
- 룬 구성 -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걸로 기본 스펙이 갈립니다.
일단 이걸로 기본 추가 시전 +60% 땡기고 들어갑니다.
이게 암흑 빌드의 깡뎀의 핵심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분노 당 피해량이 1% 씩 오르는데, 분노 중첩이 어디까지 쌓이는 지는 잘 모르겠다만
이 룬 하나로 100% 넘게 뻥튀기 되는 건 확실하게 봤습니다.
이미 넘사벽 룬입니다.
여긴 선택인데, 아직 골드 버셔야 한다면, 왼쪽을.
골드 다 버셨다면 오른쪽 선택하시면 됩니다.
전투 내 강화에서 치명타 발생 시, 둔해짐을 포함한 각종 디버프 발동 효과가 있기 때문에
치명타 확률은 일단 최대한 땡겨가야 합니다.
순수 체급을 올리는 두 개의 룬입니다.
보시다시피, 하이 리스크가 달린 룬이지만 고점이 룬 중 가장 높습니다.
다만, 한 대 맞으면 죽으니까 골드로 부활하나 쯤은 사놓읍시다.
일단 이걸로 우린
피해량 +50% +???%
치명타 확률 +40%
치명타 피해량 +50%
추가 시전 +150?%
를 처음부터 챙겨갑니다.
여기서 부족한 건, 스킬 가속인데
골드로 사는 스킬 가속은 25 씩 올려주므로, 강화로 100 만 해줘도 뽕 제대로 뽑습니다.
(스킬 가속 30 정도만 되도, 분노 스택이 마르지 않습니다.)
참고로 테네브렉스or테네브리스 / 크리모라 / 모르벡서스
다 합해서 5만 골인가 합니다.
그리고 이 캐릭터 해금하려면 3스테이지 정도까진 밀어야 하니까
그 동안에는 축복 -> 출혈 -> 독 빌드를 해금될 때마다 순서대로 타시다가
암흑 열리는 순간 바로 암흑 타세요.
여러분들도 이걸로 파죽지세로 모든 스테이지 다 밀어버리세요!
(근데 가끔씩은 다른 빌드도 하세요. 금방 질립니다.)
그리고... 다 좋은데...
한 대 맞으면 죽는데 이펙트가 너무 커서 캐릭터가 안 보인다잉...
설정에 이펙트 투명도 이런 게 나와줬으면 합니다...
오늘의 게임 해체 분석은 여기까지입니다.
빌드는 늘 고착화되기 마련이지만, 고트 서바이버는 속성도 여럿이고,
스킬과 룬의 개수가 너무나도 다양하여, 수많은 빌드가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제 경험에 의존한 내용입니다!
다음에 새로운 게임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해주세요.
썸네일이 너무 우당당탕 화려해서 들어와버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펙트가 화려하긴 한데 아군과 적 둘 다를 가려버리면 ㅋㅋ
시꺼매서 더더욱 안 보여버림
진짜 이펙트 자체가 게임 난이도 상승의 주범이죠
이펙트 관련은 많은 게임들을 생각하게 하네요... 가장 좋은 것은 메이플처럼 불투명화를 만들어주는 것이지만... 사실 이펙트 맛이 있는 게임에선 불투명화가 오히려 부작용이 될 수 있기도 하죠
하지만 화면을 다 뒤덮고는 생존을 챙길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면 얘기가 달라지더라구요
크루 마승완저도 똥컨이라 많이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ㅋㅋㅋ (메이플 유저)
어쩌면 2d / 탑뷰 게임의 한계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2d개발자)
생긴게 컬트 오브 더 램 닮았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