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팡이] ☆ 총망라 ☆ 중저투력 지팡이 육성 [1]
안녕하세요, 전투력 9만 병아리 입니다.
처음 하시는 분들도 도움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기초/기본적인 것들도 포함하여 올려 봅니다 !
중저투력 분들이 사냥하실 때 위주의 팁/노하우 입니다. (PvE)
0. 사냥터
1) 메인 퀘스트 / 서브 퀘스트를 클리어 하시면서 성장해 줍니다.
(간혹 서브 퀘스트를 나중에 하시려는 분들이 계신데, 나중에는 굉장히 귀찮아 지기도 하고,
메인 퀘스트 몬스터 = 서브 퀘스트 몬스터인 경우도 다수 있으므로 최대한 같이 클리어 해주는 편이 좋습니다.)
2) 사막 / 티라오사 무덤 1층 전까지는 큰 무리 없이 퀘스트를 깨며 성장이 가능합니다.
중저투력의 성장 기준에서는 수호자의 유적지부터 몬스터에게 맞는 것이 좀 아프게 느껴졌습니다.
초반에는 방어력을 올리는 위주로 플레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티라오사 무덤 1층에서는(특히 입구쪽) 겹쳐서 사냥, 일명 "겹사"를 해도 합법이므로 이를 통해 레벨 업을 해주세요.
레벨 업을 하며 방어력 위주로 올리시다 보면 어느덧 혼자 사냥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이 인내심을 요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4) 무덤 2층, 죽은자의 대지 1층 사냥부터는 사냥터 선택지의 폭이 넓어집니다.
본인의 스펙업에 맞추어 적절한 사냥터 / 몬스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5) 간간히 메인 퀘스트도 클리어 해주고 꾸준한 레벨업을 해 주셨다면 어느덧 80레벨 중후반이 되어 있습니다.
스펙업을 꾸준히 해 주셨다면 빌빌거리던 내 캐릭터가 이제는 사람 구실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타락한 미궁, 어둠의 숲에서 시원시원하게 광역사냥 하며, 시간의 조각 / 강화석 등을 캘 수 있는 구간 돌입)
1. 스탯
1) 몬스터 피해에 버텨지는 경우 : DEX - INT - LUK 순서로 찍어줍니다.
2) 몬스터 피해에 버티기 힘든 경우 : DEX - LUK - INT 순서로 찍어줍니다.
(DEX는 방어관통 / 명중이 모두 붙은 스탯으로 최고의 효율을 자랑합니다.)
2. 방어구 마스터리 (사냥 시 유효옵 기준)
- 지팡이의 경우, 방어관통 / 스킬 피해 / MP 회복이 필요하여 "천"이 무난한 것 같습니다.
(방어구 마스터리 리밸런싱 후에는 어떠한 점이 달라지는지 보시고, 사냥 시 유효옵을 골라내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1) 천 : MP 회복, 스킬 피해, 인내 무시 + (전설 방어구 세트 착용 시, 치명타 / 방어력 / 방어 관통)
2) 가죽 : HP 회복, 치명타, 치명타 피해, 방어 관통 + (전설 방어구 세트 착용 시, 명중 / 방어력 / 스킬피해)
3) 판금 : 명중, 방어 관통, 기본 공격 피해 + (전설 방어구 세트 착용 시, 방어력 / 치명타 피해)
3. 무기 특성
1) 일반 파밍(단일 / 일부광역)
: 유성 낙하 잔해 - 서리 폭풍 - 마법 연구: 가속+ - 마법 방출: 일격 을 액티브 스킬로 찍어 주시고,
나머지는 패시브 능력치(방어관통, 공격력, 인내무시)
로 찍어줍니다.
무기 특성 포인트가 더 확보되거나 MP 회복에 더 여유가 있으면,
뇌창 or 화염구를 찍어줄 것 같습니다.
(본인의 MP 회복량에 따라 보시면서, 일부 조절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 MP 회복은 209 입니다.)
2) 던전 파밍(광역)
: 유성 낙하 잔해 - 서리 폭풍 - 전하 파동: 과출력 - 뇌창 - 마법 연구: 가속+ 을 액티브 스킬로 찍어 주시고,
나머지는 패시브 능력치(공격력, 인내무시)로 찍어줍니다.
※ 80 레벨 액티브 스킬이 새로 나온다고 하는데, 해당 스킬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인의 특성 포인트 및 MP 회복이 스킬 트리에 있어 꼭 고려해야 할 점입니다.
4. 탈것
1) 오버파밍 : 아르테미스 (명중 / 방어관통)
- 페르벤 (인내 / 방어관통)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있으나, 저는 빠른 사냥을 위해서는 명중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2) 적정레벨 이하 : 델폰 (공격력 / 방어관통)
- 빗나감이 뜨질 않는 선에서는 델폰이 사냥속도가 더 빠릅니다.
5. 호문
1) 2단계 꼬마 늑대의 조합, 일명 "늑늑늑"을 완성하여 사용합니다. (Step 1)
2) 어느정도 호문재료 가격이 안정화되면,
쁘띠 듀플리칸의 모든 피해, 받는 피해 감소 + 큐티 메이드 명중 (드래곤 방어관통도 있으나 가성비 측면에서 좋지 않아 패스)
완성하여 사용합니다. (Step 2)
※ 호문은 초반에는 재료가 비싸 투자 대비 스펙업이 크지 않으므로 가격이 하향 안정화 되면 갖추셔도 됩니다.
6. 아이템 기록
- 성물과 더불어 확정 스펙업을 해주는 요소입니다.
매물이 없는 장비/장신구 또는 고강화 아이템은 효율이 떨어지니, 값싸게 할 수 있는 것들부터 해줍니다.
(기록 한 줄 채우면 스택이 1개 쌓이는 구조인데, 비싸게/힘들게 한 줄이라고 스택이 여러개 올라가지 않아 가성비 중요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빠르게 하는 것보단 오히려 기록은 천천히 여유가지고 하니 계속 성장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특수 기록은 PvE 에서는 투자 대비 효율이 그렇게 좋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7. 성물
- 파괴의 근원 : 공격력
- 결계의 수호 : 방어력
- 생명의 결정 : 체력
1) 처음 육성 시에는 레벨업도 빠르고, 몬스터에게 맞는 것이 그렇게 아프지 않습니다.
사냥속도를 위해 파괴의 근원 위주로 올려 줍니다.
2) 절규하는 자의 사막, 일명 "사막" 부터는 몬스터에게 맞는 것이 아파집니다.
이때부터는, 결계의 수호 위주로 빠르게 60레벨 정도 찍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성물을 아예 찍지 말자는 것이 아니라, 몇백~몇천개 정도의 시간의 조각이 들어가는 수준에서는 골고루 찍어주시면 됩니다.)
3) 성물, 장비, 장신구, 기록 등을 통해 어느 정도의 방어력이 갖춰지고 나면,
다시 사냥속도를 위해 파괴의 근원 위주로 찍어줍니다.
※ 저의 경우, 파괴의 근원 100레벨, 결계의 수호, 60레벨, 생명의 결정 40레벨을 통해 총 200레벨을 달성하고,
마력의 폭풍을 활성화 시키고 난 후, 마력의 폭풍 위주로 찍되 강화에 필요한 시간의 조각을 보며 결계의 수호도 적절히 배분해 줄 예정입니다.
(생명의 결정은 사냥속도, 유지력 어느 하나에도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완전 후순위로 두었습니다.)
8. 각인
1) 테레노스의 각인 : 4, 8, 12번째 줄의 마법 방어 관통이 핵심입니다. (고급 옵션 이상을 띄워줍니다.)
나머지 줄은 몬스터 피해 증가, 마법 공격력이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효옵 입니다.
2) 세크레타의 각인 : 4, 8, 12번째 줄의 받는 피해 감소가 핵심입니다. (고급 옵션 이상을 띄워줍니다.)
(근거리 인내, 원거리 인내, 마법 인내도 있으나, 범용 사용이 안되어 특정 상황에서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마법 몬스터를 사냥하는데 근거리 인내가 무슨 소용일까요...)
나머지 줄은 몬스터 받는 피해 감소가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효옵 입니다.
3) 칼리온의 각인 : 4, 8, 12번째 줄의 공격 속도가 핵심입니다. (고급 옵션 이상을 띄워줍니다.)
나머지 줄은, 레벨이 중요한 게임이어서 추가 마스터리 경험치도 괜찮은 것 같고, 스킬 피해 / 시전 속도 무난합니다.
4) 오베론의 각인 : 오버파밍, 일반 광역 사냥으로 나뉠텐데
4, 8, 12번째 줄은 글로벌 쿨타임 감소가 범용적으로 쓰기에 괜찮은 것 같고요(오버파밍 시에는 명중도 나쁘진 않습니다.)
나머지 줄은 오버파밍 시에는 마법 공격력, 마법 명중 / 일반 광역 사냥 시에는 마법 공격력 / 마법 치명타가 낫습니다.
(저는 오베론의 각인은 사냥 용도에 따라 2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각인 순위 : 칼리온의 각인 - 테레노스의 각인 - 오베론의 각인(70부터 가능) - 세크레타의 각인 순으로 세팅해 줍니다.
(사냥속도를 고려할 때 상기 순서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 단, 각인의 경우 확률로 정해지는데 "시간의 조각"이 매우 많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초반에는 몇백~몇천개의 시간의 조각만 있어도 성물을 통한 스펙업의 효율이 훨씬 좋으니 각인 지옥에 빠지지 마시고 성물에 투자하십시오.
성물 1레벨 올리는데 시간의 조각이 3만개 이상 들어갈 경우부터 각인 세팅에 손 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9. 룬
- 사냥 속도를 위해 All 격노의 룬으로 선택했습니다.
격노의 룬을 보시면, 공격력 / 방어력/ 치명타 / 명중 등 사냥속도를 올려줄 수 있는 능력치가 많이 포진되어 있는 반면,
다른 룬들은 PvP 에만 도움이 되거나 유지력을 올려주는 등 사냥속도와는 상관없는 옵션이 많습니다.
따라서, 저의 경우에는 격노의 룬에 집중하여 보드 레벨도 올리고 공명단계 포인트도 50p 이상으로 맞춰 방어 관통을 챙겼습니다.
공명단계 포인트 50p 이상을 위해서는 희귀 격노의 룬이 필요하며, 13 Point, 11 Point 짜리 각 1개 + 9 Poin 3개 박으시면 됩니다.
만약, 재생 / 저항 / 예지의 룬을 섞어서 박는다면, 공격속도를 위한 유효옵을 띄우는 것과 공명단계 포인트 얻기가 어려워 질 것입니다.
지금까지 중저투력 위주의 지팡이 팁/노하우 였습니다.
다른 로드님들이 생각하시기에 "어? 저건 아닌 것 같은데?"라고 생각하는 부분도 있겠으나,
저는 효율/가성비를 중시 하는 사람인지라 육성 방법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급격한 성장을 이뤄내실 수 있는 과금력이 있으신 분들은 해당 사항들이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분들은 어나더레벨 이기 때문...)
로드나인에서 설정이 필요한 각 요소들에 대해 최대한 하나하나 풀어 써서,
새로 하시거나 감이 없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저는 짜바리로 시작해서 이제는 9만 투력을 달성하여 조금은 캐릭터 구실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금도 효율/가성비를 챙기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ing
모두 즐거운 로나 되시기 바라며, 마지막으로 부디 1주년 행사가 장례식이 아니었길 간절히 바라봅니다.
감사합니다.
To enter a comment Log In Please
정성스런 공략글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