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째서 우리는 플레이 하지도 않는 게임을 사는가?

STOVE Store

커뮤니티 게시판 글상세

😁 Free Talk

글상세

😁 Free Talk

어째서 우리는 플레이 하지도 않는 게임을 사는가? [22]

예전에 다른 곳에 작성하려고 쓰다만 글이었는데, 주제를 게임으로 변경하고 살을 붙여서 여기 올려 봅니다. 심리학에 대한 언급이있지만, 그냥 주장의 근거를 장황하게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니, 바쁘신분들을 위한 한줄 요약!


"스트레스의 해소 과정입니다. 그러니 플레이 하지도 않는 게임을 샀다고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그걸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물론 심리학이라는 것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인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적는 이야기 말고도, 그저 다른 친구들과 커뮤니티를 갖기 위해 게임을 구입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그저 정말로 시간이 없어서 플레이를 못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모든 분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은 아닙니다. 그래도 이 이야기는 여러분 다수에게 해당되면서, 적게나마 위로가 될 것이라 생각되기에 적어 봅니다.


참고로 원문에서는 쇼핑 중독 관련 글이었는데, 그렇다 보니 이 글은 대부분의 소비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게임 대신 신발이 들어가도 되고, 낚시 용품이 되어도 되고, 전자 제품이 들어가도 됩니다.



현찰 삭제의 마법!



■ 파블로프의 개같은 쾌락


과학계에 가장 유명한 3마리 동물이 있습니다. 파블로프의 개와 슈레딩거의 고양이, 나머지 하나는 시기에 따라서 변하긴 하는데, 복제양 돌리나 우주견 라이카, 등등… 이건 중요한게 아니니 넘어가죠. (개인적으로 라이카-쿠드랴프카를 뽑습니다!)


파블로프의 개는 어려운 실험은 아닙니다. 개에게 먹이를 주기 전에 종소리를 들려주고 먹이를 주다보면,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개가 침을 흘리게 되는 "조건 반사"의 증명 실험으로 유명하죠.





그리고 이건 학습이론과 행동 심리학에서 정말 매우 중요한 실험입니다. 조건과 결과가 쾌락으로 이어질 때, '조건 반사적인 쾌락 구조'가 형성됩니다. 조건만 만족 시켜주면 쾌락을 얻을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놀라운건, 상상력이 풍부하고 기억력이 좋은 (특히 인간) 생물일수록 이 조건 반사적 쾌락 구조가 잘 형성된다는 겁니다.


이걸 조금 과장해서 얇은 책의 소재로 정말 많이 사용된다는 건 안 비밀…


우리는 게임을 통해(조건) 즐거움(쾌락)을 얻은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게임을 구입(조건)"을 해야하고, 최종적으로 플레이를 통해 즐거움(쾌락)을 얻는 구조를 취하고 있죠. 이 쾌락 구조가 형성된 이후 부터는, 그저 조건(게임 구입)만 해도 마치 플레이 한 것과 같은 쾌락을 얻게 됩니다.


상상력과 기억력이 풍부한 만큼, 그저 게임 구입할 "생각"만 해도 마치 게임을 구입한 것 같은 쾌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 플레이를 하지 않더라도, 그저 "갓겜"이라 평가 받는 게임을 소유하는 것 만으로도, 마치 갓겜을 플레이 한 것과 같은 "쾌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죠. 오히려 플레이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게임들의 경우는 구입하고 플레이 하지 않는 게 더욱 만족감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게임을 안사고 이런 소개 영상만 봐도 어느 정도 게임 플레이 한 것 같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이 되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구입 직전에 가장 큰 만족감을 느끼고, 구입 후에는 만족감(행복감)이 점차 낮아진다는 연구" 논문도 있었는데, 찾아 보려니깐 안보이네요 ㅠㅠ 최강 1교시던가? 위대한 수업이던가? 알쓸별잡이던가? 암튼 어딘가에서도 본 것 같은데, 흠....


굳이 여기까지 가지도 않더라도, 게임을 통해 즐거움을 느껴본 적이 있는 사람이 게임을 구입한다는 너무나 당연한 인과관계만 떠올려도 충분하긴 합니다. 좋은 신발을 신었을 때, 사람들이 알아봐 준다거나, 비싼 무엇인가를 사서 인스타에서 자랑 했을 때 좋아요를 많이 받았다는 > 그러니 해당 물품에 대한 애착과 쾌감이 형성된다는 심플한 인과 구조 말이죠.




그러니 여러분들이 게임을 구입하고 플레이 하지 않는 것에, 죄책감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마세요. 이건 "지친 현실로 부터 손쉽게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그런데 그런걸로 스트레스를 받으시면 도루묵인 거죠. 그러니 "구입만 해도 즐거우면 된거다!" 라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이 주제에 관해서는 딱 하나 더 언급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 게임 구입 후 심한 죄책감이 든다면, 그것은 우울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지만 계속해서 게임을 사 모으신다면, 그리고 그 행동에 대한 죄책감이나 스트레스를 받고 계시다면, 그건 게임의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현생에서 너무 많은 스트레스나 압박을 받고 계신 건 아닌지를 우선 걱정해야 합니다. 아무튼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어떠한 종류이든 쾌락을 얻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모습이거든요.


그리고 구입 후에 죄책감을 느낀다면 그건 상당히 위험한 우울증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단지 게임 구입뿐만이 아니라 "쇼핑 중독" 이라는 형태로, 우울증과 불안장애의 전조증상으로 굉장히 많이 연구되어 온 주제입니다. 그러니 이런 경우는 현재 스트레스 받고 있는 환경을 어떻게든 탈피하거나 개선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심리 상담도 좋고, 아니면 게임 이외에도 다양한 스트레스 해소의 수단을 찾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뭐, 논리나 주장, 이론을 다 떠나서! 행복하자고 산 게임에 스트레스 받지 말자는 말입니다 ㅋㅋㅋ
스토브 인디와 건전한 게임 문화를 응원합니다!




■ 기승전 AI 예찬


글의 주제에서 벗어나는 이야기지만, 이 글에는 AI를 다수 활용했습니다.

글을 쓰고 나서 주장에 헛점이 없는지, 논리적 비약이나 잘못된 전개가 없는지 확인할 때도 AI는 참 많은 도움을 줍니다!

그저 글을 통째로 복붙해 놓고 그저 AI에게 물어보기만 하면되거든요.


이번에 사용한 AI는 구글의 Bard!

https://bard.google.com/



심지어 어떻게 하면 더욱 좋은 글이 될지까지 조언해 줍니다. 
참 편리해 졌습니다 ㅎㅎㅎㅎ


그리고 해당 글에 삽입된 모든 일러스트는 AI 모델인 DALL-E 3에서 만든 그림입니다.

파블로프의 개 일러스트에 영어가 뭔가 이상해 보이는 건, 그것도 AI가 그린 그림 이거든요! ㅋㅋㅋㅋ



이건 엣지 브라우저 및 윈도우에 포함되어 있는 Copilot AI 를 사용했습니다.


즐거운 불금 & 주말 되세요~

Reply 22
Notification has been disabled.



수집은 유구한 역사를 가진 취미지요ㅎㅎ

게임 수집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심리학과 연관지어 분석적으로 작성하신 오늘의 촉.감 컨텐츠 잘 정독하고 갑니다

항상 잘 읽어 주시고 좋아요도 챙겨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




원래는 구입만으로 행복하긴 했는데 뭔가 스토브 인디 오니까 개발자님이 좀 더 가까운 느낌이 들어선지 거기서 오는 죄책감이 오는거 같기도 하고요? 

현금으로 개발자님을 응원했다고 생각하도록 하죠 ㅋㅋㅋㅋ




다음 주제 : 왜 어머니는 내 자식이 먹는 것만 봐도 배가 부를까?  ㅋㅋㅋㅋ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실제 플레이를 위한 목적과 별개로 라이브러리 과시 용도 무시 못하겠네요.

그리고 사람 심리가 할인을 영원히 안 한다면 굳이 게속 사진 않을 거에요. 필요할 때만 사겠죠.

아마 경제학에서 기회비용 이란 말이 나오는데, 여러 대안 중에서 유독 할인을 받음으로서 내가 이득을 본다는 심리가 있기 때문이죠.

근데, 플레이 안하고 게속 묵혀두면 점점 싸게 나오던데...


아... 정가에 구입한 게임들이 점차 20% 50% 80% 까지 떨어질 때의 그 고통은... ㅠㅠㅠㅠㅠㅠㅠㅠ


profile image

촉촉한감자칩누군가는 구매 인증 올리겠죠~

할인 + 원기옥 0원에 샀어요~

이래서 스트레스?

profile image

촉촉한감자칩반대경우도 있지요 ㅋ. amd 그래픽카드 번들 스타시티즌 오메가 머스탱 2만원 짜리가 희소성때문에 지금 45만원 비행기 가격 합니다

profile image

hashiruka48그런 복권 같은 케이스는 연이 없어서 참 부럽습니다 ㅋㅋㅋㅋ

profile image

hashiruka48초딩 때 고이 고이 앨범으로 모아둔 kof 96,  kof97, 세일러문 카드 등 몇 달전에 처분했던 기억이 나네요.

2장에 100원이었는데 장당 1000원 넘게 가격 측정해서 팔았는데.


😁 Free Talk's post

List
작성 시간 11.03.2023

온에어 아일랜드 해본 분 있나요? [3]

11.03.2023
2023.11.03 05:27
작성 시간 11.03.2023

핫위크 싸다구에 요청해서 겜 한글화출시한거 뭐뭐있죠 [1]

11.03.2023
2023.11.03 04:27
작성 시간 11.03.2023
image
+6

어째서 우리는 플레이 하지도 않는 게임을 사는가? [22]

11.03.2023
2023.11.03 02:39
작성 시간 11.02.2023
image
+1

옆동네 무료정보.. [10]

11.02.2023
2023.11.02 21:11
작성 시간 11.02.2023
image

게임 관련 랜덤 글 (3) [2]

11.02.2023
2023.11.02 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