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Topic] 《FLOWERS》의 음악이 품은 꽃과 꽃말 -봄편- [4]
"식목일"
4월 5일, 나무 심기를 통해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산림자원 육성을 촉진하기 위해 제정된 날
식목일, 나무 심기, 식목일, 식물 심기, 식목식물식목식물
식물 풀 꽃 식물 풀 꽃
꽃 플라워 꽃 플라워 플라워 플라워즈
FLOWERS!
무친 의식의 흐름
아름다운 아트를 보고 혹했다가 장르를 보고 뒷걸음질 치는 그 게임
아트만큼 아름다운 선율을 자랑하는 음악은 작품의 컨셉처럼 제목에 꽃과 꽃말을 품고 있습니다
이번 글은 그걸 소개하는 내용으로 플레이하신 적이 있으시다면 그 의미를 보며 다시 한번 떠올려보고,
없으시다면 글에서는 동성애 코드가 전혀 없으니 음악감상과 읽을거리 정도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기존 외국인 채널이 짤려서 통합판으로 대체, 타임라인은 생략
1. 앙그레컴(アングレカム)
첫 번째 트랙은 봄편을 진행하며 가장 많이 듣게 되는 「앙그레컴」입니다
앙그레컴은 게임의 배경이 되는 성 앙그레컴 학원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실제 꽃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앙그레컴은 "기도", "언제까지나 당신과 함께"라는 꽃말을 갖고 있으며, 다윈난이라는 이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꽃잎의 모양이 독특하게 생긴 앙그레컴"
2. 기도(祈り)
두 번째 트랙은 앞서 얘기한 앙그레컴의 꽃말 중 하나인 「기도」입니다
이전 트랙인 앙그레컴을 어레인지한 곡으로 조금 더 차분하고 조용한 상황에서 흐르는 기본 배경음입니다
3. 마거리트(マーガレット, 인게임 번역 - 마가렛)
세 번째 트랙은 3~5월 사이에 개화하는 국화과의 봄꽃 「마거리트」입니다
일부 데이지 종류와 유사하게 생겼으며 우리말로는 '나무쑥갓'이라고도 부릅니다
꽃말로는 "진실한 사랑", "사랑을 점친다", "마음속에 감춘 사랑"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담으로 마가렛이 아닌 마거리트(marguerite)가 발음도 그렇고 옳은 표기입니다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꽃점에 흔히 사용되는 마거리트"
4. 마음속에 감춘 사랑(心に秘めた愛, 인게임 번역 - 마음에 품은 사랑)
이번 트랙의 이름 역시 앞서 말한 마거리트의 꽃말 중 하나인 「마음속에 감춘 사랑」입니다
번역만 보면 원제의 「心に秘めた愛」에서 秘めた가 '품은'도 맞지만, 꽃말로는 감춘, 간직한이 널리 쓰입니다
5. 미스테어(ミスティア)
FLOWERS에서는 영어보다는 프랑스어가 왕왕 많이 쓰입니다
대표적으로 학원의 전우조 아미티에 제도의 아미티에는 우정을 뜻하는 여성형 명사 'amitié'이지요
이번 트랙의 제목 역시 불어에서 수수께끼를 뜻하는 명사 'mystère'입니다
그 의미처럼 학원의 사건을 조사할 때, 추리를 할 때 흐르는 곡입니다
6. Afternoon Tea
「오후의 차」
애프터눈 티는 홍차의 나라 영국에서 오후 3시에서 5시 사이에 홍차와 함께 다과를 즐기는 문화입니다
작중에서도 앙그레컴 학생들이 다과회를 할 때 나오는 곡이지요
7. 마음의 가시(心の棘)
고민, 갈등 같이 다소 무거운 분위기의 장면에서 쓰이는 곡입니다
8. 트와일라잇(トワイライト)
「황혼」, 으스스한 괴담 이야기를 할 때 나오는 곡으로 이후 작품에서도 간간이 쓰입니다
9. 실레네(シレネ)
자, 다시 본래 목적인 꽃이 등장했습니다
실레네는 5월~8월 사이에 개화하는 석죽과 봄꽃으로 우리말로는 '끈끈이대나물'이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꽃말은 "청춘의 사랑", "함정"이라고 합니다
심각한 상황에서 흐르는 곡이라 "청춘의 사랑"보다는 "함정"에 초점을 두고 제작한 곡인 거 같네요
"줄기 윗부분 마디에서 끈끈한 점액이 나와서 끈끈이대나물이라 불린다"
10. 아이리스(アイリス)
아이리스라는 단어는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아주아주 익숙한 붓꽃이 바로 아이리스입니다
5~6월에 개화하는 봄꽃으로 "좋은 소식", "사랑의 메시지", "잘 전해 주세요"를 꽃말로 가지고 있습니다
"꽃봉오리가 먹을 머금은 붓처럼 보인다고 하여 지어진 붓꽃"
11. Cantique de Noel
Cantique de Noel은 프랑스어로 '크리스마스 캐럴'을 뜻합니다
당연히 계절상 노엘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고 스오우가 피아노 연주를 부탁 받고서 치는 캐럴 '오 거룩한 밤(O Holy Night)'을 나타냅니다
13. 물망초(ワスレナグサ)
물망초는 5~6월 사이에 개화하는 봄꽃으로 "나를 잊지 마세요"라는 꽃말로 아주 유명한 꽃입니다
우리나라 명칭인 물망초(말 물, 잊을 망, 풀 초)
일본어 명칭인 忘れな草(와스레나+쿠사)
영어 명칭인 forget-me-not
언어는 다르지만 모두 잊지 말아 달라는 의미가 들어갔다는 점도 아주 재밌는 부분입니다
제발 잊지 말아다오
"「진실한 사랑」이라는 꽃말도 갖고 있는 물망초는 겨울편 오프닝의 메인 소재로 뽑힌다"
14. 백합(ユリ)
장르의 아이덴티티이자 작품의 히로인 포지션인 코우사카 마유리의 탄생화인 「백합」
그렇기에 다른 꽃들과 다르게 초여름부터 피기 시작하는 여름꽃이지만 특별히 곡의 제목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꽃말은 새하얀 꽃잎과 같은 "순결"이지만, 주로 그렇고 그런 장면에서 흐르는 곡
15. 모놀로그(モノローグ)
문자 그대로 독백을 의미하는 영단어 'monologue'
장을 시작하기 전에 봄편의 화자인 스오우가 독백을 할 때 흐르는 곡입니다
16. 칼라(カラー)
봄편의 메인 타이틀이며, 겨울편에서는 그랜드 피날레 엔딩 감상 후 바뀌게 되는 타이틀로 시리즈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곡입니다
칼라는 5~8월 사이에 개화하는 꽃으로, 흔히 부르는 카라는 일본식 발음으로 틀린 표현입니다
"순수", "천년의 사랑"이 꽃말이며 다섯 송이의 칼라는 "아무리 생각해도 당신만한 사람은 없습니다"라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칼라 뭉탱이가 되면 「당신은 나의 행운입니다」라는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
To enter a comment Log In Please
와 사운드 트랙이 다 좋네요 클래식으로 이렇게 소소하면서 일상적인 느낌이 나다니 ㄷㄷ
작곡가가 이노그레 첫 작인 카르타그라 때부터 곡 담당으로 쭉 참여한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