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젤을 이용한 와이번 원펀파티 원리 해설서

에픽세븐

에픽세븐
  • 공식 커뮤니티
  • MOBILE
  • 턴제 RPG
  • 스마일게이트홀딩스

커뮤니티 게시판 글상세

공략 게시판

글상세

공략 게시판

[토벌] 죄젤을 이용한 와이번 원펀파티 원리 해설서 [3]


 * 개요


 와이번 원펀을 시도하는 경우에 죄젤을 많이 사용합니다


 위 스샷과 같은 구성은 평범한 구성입니다

 4성 캐릭이 셋이라서 기각활용이 쉽고

 5성은 세크레트만 있으면 됩니다


 스트라제스를 보유한 플레이어의 경우 세크레트 대신 스트라제스를 쓸 수도 있겠죠


 파티원의 위치는 플레이어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죄젤의 기각이 위아래이므로 위 스샷처럼 딜러 2명을 위아래로 놓을수도 있고

 카린의 기각이 뒤 위쪽이므로


 


 딜러 2명에게 카린의 기각인 치확 15%를 공급하기 위해 이렇게 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템에 따라 클라릿사의 아이템이 충분하면 죄젤의 기각자리에서 위 스샷처럼 클라릿사를 뺄 수도 있고

 세크레트의 아이템이 충분하다면 자리를 바꿀수도 있고요

 이건 사람마다 다를 겁니다


 어떤 토벌이든 원펀치 파티를 짤때 이 기각이 중요합니다

 죄젤의 경우 공버프 10.2%

 클라릿사의 경우 공버프 8.4%를 장판으로 제공합니다.

 세크레트의 기본공이 1228이므로

 세크레트는 인게임들어가서 공 228.4를 추가로 얻는거예요


 여기에 토벌에서 자주쓰이는 버프 아티팩트인 나팔 (공10%) 슈퍼 건 워터 에이스 (공5%) 이런거까지 있기 때문에

 우리가 스텟창에서 보는 공 스텟과 실제 인게임내에서 적용되는 공 스텟은 괴리감이 상당히 큽니다.





 * 원리


 파티 구성시 캐릭터 속도는

 안젤리카 - 클라릿사 - 카린 - 세크레트 순서가 되어야 합니다

 위 스샷에서도 깔끔하게 순서대로 정렬된 걸 볼 수 있죠?


 토벌시 사용하는 나팔은 반드시 죄악의 안젤리카가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1라운드 몬스터 셋이 움직인 다음에 나팔이 발동해서 행동순서가 꼬이게 됩니다


 죄젤 3스킬 버프 -> 클라릿사 3스킬 광역딜 -> 클라릿사 2스킬 광역딜

 이렇게 1라운드 몬스터를 전부 클리어할 수 있어야 하고


 카린과 세크레트에겐 차례가 돌아가면 안 됩니다


 이 순서가 2라운드 들어가면 바뀌게 됩니다

 이게 죄젤 원펀파티구성의 핵심입니다 





 에픽세븐 전투 시스템상 라운드 하나가 끝나면 모든 버프시간이 1턴씩 줄어듭니다

 그래서 죄젤과 클라릿사의 버프시간이 하나씩 줄어들었고


 1라운드에서 턴을 못잡았던 카린과 클라릿사는 아직 버프를 1턴씩 들고 있죠


 속증버프를 말이에요

 속도 증가 버프는 30%의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2라운드의 속도 순서는 이렇게 뒤바뀝니다


 속버프 카린 > 죄젤 > 속버프 세크 & 클라릿사


 이렇게 바뀌면 2라운드에선

 1. 제일 빨리 턴을 잡은 카린이 먼저 방깍을 걸고

 2. 그 다음에 죄젤이 아직 공버프 남아있는 세크레트의 협공을 유발하고

 3. 그 다음에 공버프를 가진 세크레트가 공격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때문에 죄젤의 속도는

 속버프 세크보다 빨라야 하고

 속버프 카린보다 느려야 합니다


속버프 세크가 죄젤보다 선턴을 잡으면 세크가 3스킬 쓰고 공버프를 써버린다음에 죄젤이 평타협공을 유발하게 되겠죠?



 실제 플레이 영상







 * 영상에 있는 캐릭터들의 스테이터스들


 진격의 나팔을 쓴다면 죄젤이 써야 합니다

 죄젤의 아이템을 맞추기는 쉽습니다


 저항 200과 적절한 속도만 맞추면 되거든요

 저항 200이 안되면 2라운드에서 불사가 지워질 가능성이 생깁니다


 1라운드에서 선턴을 잡아야 하고

 2라운드에서 카린(속도x1.3)보다 후턴을 잡아야 하며

 2라운드에서 세크(속도x1.3)보다 선턴을 잡아야 합니다


 제일 큰 문제는 저처럼 죄젤2호기가 없는 유저의 경우 PVP에서 죄젤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원펀파티를 사용할 계획이 있으신 분이라면 죄젤 합치지 말고 기각도 전부 다 해놓으세요

 물속성 안젤리카는 원래 전송하시면 안됩니다

 ( 천젤 기각용 6개 ) + (pvp죄젤 기각용 6개) + (토벌죄젤 기각용 6개) = 18개 필요해요...






 카린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풀기각시 치확15% 장판을 깔 수 있음

 스작을 하지 않아도 됨 (전 낡은 유저라서 옛날에 스작한 카린으로 와이번을 잡았기 때문에 스작이 되어 있습니다)


 3스 전장 사용시 출혈도 걸 수 있는데 이것은 다소 사소한 장점이구요


 카린 스펙이 세져서 5000딜이라도 더 넣으면 그만큼 세크레트의 스펙컷이 조금이라도 더 낮아집니다


 딜보다 중요한 것은 적중65%, 치명 85%, 적절한 속도를 맞추는 것입니다


 1라운드에서 클라릿사보다 선턴잡지 않는 속도

 2라운드에서 속도x1.3을 했을때 죄젤보다 선턴을 잡을 수 있는 속도


 물론 카린이 방깍을 못걸면 전복이 납니다


 다들 잊지만 슈퍼 워터 건 에이스에는 공5%말고 적중5%도 있으므로 이것도 계산하셔도 됩니다.

 





 클라릿사입니다

 카린 치확 15%를 받고 유리한 속성 15% 효과를 받으면 불속성 몬스터에게 풀크리입니다.

 전장은 3스킬


 스펙이 상당히 센데요 3스를 다 안찍었기 때문에 아이템으로 때워서 그렇습니다

 3스 다 찍으면 이것보다 치피 대충 30% 정도 낮거나 공400정도 낮아도 될거예요 (정확하진 않음)


 거의 최소컷이므로 이것보다 낮으면 1라운드 청소가 안될겁니다

 물총 나팔도 빠지면 안되고요


 1라운드 맨 뒤에 몬스터 3스로 잡을 수 있으면 무조건 청소가 되기 때문에 2스킬은 찍을 필요가 없습니다


 1라운드에서 카린보다 선턴잡아야 합니다






 세크레트입니다

 속도 다이어트가 안되서 120이나 됩니다

 토벌 원펀 메인딜러 속도가 느릴수록 나머지 요원들이 속도 맞추기가 쉬워지는데

 원펀 파티가 다 그렇습니다


 저의 경우엔


 세크레트 속도+10 카린

 카린 속도+10 클라릿사


 그리고 이제 여기에 맞는 죄젤속도 이렇게 세팅하느라 세팅이 힘들어졌습니다


 가능하면 분노세트 쓰는게 템컷이 낮아지구요

 전장은 1스킬 데미지+20%입니다


 이 스샷의 세크레트의 경우 속도를 계산하면 120 x 1.3 = 156이 되어서


 2라운드에서 속도160인 죄젤보다 선턴을 잡는 일이 가끔 발생합니다

 그래서 가끔 원펀파티가 터져버립니다


 저처럼 되지 않게 주의해주세요

 공치피는 살짝 오버스펙입니다 (2라운드에서 클라릿사가 때리는 데미지도 있기 때문에)



 약간의 템분류에 대해 첨언하자면

 속도가 붙은 분노세트는 원정대 딜러에게 적합하고

 속도가 없는 분노세트는 토벌 원턴 딜러에게 적합합니다 (이 아이템들의 경우 남는자리에 붙는 깡공이 중요합니다 조금이라도 딜을 더 올려야 하기 때문에)




 끝


댓글 3
알림이 해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모바일 게임 전문 공략 커뮤니티 sgambee(https://sgambee.com/ )입니다. 글을 잘 써주셔서 해당 글을 저희 커뮤니티에 모바일게임 공략글로 펌해가고 싶은데 가능할지 알고 싶습니다!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업로드합니다만 펌이 불가하다면 답글로 삭제 요청해주시면 답글 확인하는 즉시 바로 삭제 조치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xD 

ㅇㄷ

공략 게시판의 글

목록
작성 시간 2022.01.25
image
+1

심연 92층 드디어 깼따.... [1]

2022.01.25
2022.04.09 04:54 (UTC+0)
작성 시간 2022.01.23

22.01.23) 비상런 하늘석 1만 개 결과 공유 [8]

undefined

2022.01.23
2022.01.30 08:26 (UTC+0)
작성 시간 2022.01.22
image
+9

죄젤을 이용한 와이번 원펀파티 원리 해설서 [3]

2022.01.22
2022.07.14 09:27 (UTC+0)
작성 시간 2022.01.21
image
+4

에린이들에게 희망을 심어줄 기간테스3단계 귀여운 누렁이덱

2022.01.21
2022.01.21 16:48 (UTC+0)
작성 시간 2022.01.20

출시전 월체르 딜계수를 통한 3스 실전 딜량을 계산, 뽑을지 말지 정해보자! [1]

undefined

2022.01.20
2022.07.09 08:13 (UTC+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