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브

에픽세븐

OFFICIALMOBILE턴제 RPG스마일게이트홀딩스

공략 게시판

[원정대] 물 원정대 스토마쿠스 공략 (영상 추가했어요) [2]

영상은 없습니다.
영상을 많이 찍어놔서 편집하려고 했는데 컴퓨터가 먹통이 됬습니다.
컴터가 살아나면 추가로 올릴 수 있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영상에 생략된 내용이 많으니 같이 보시면 됩니다.




1. 타마린느가 파티에 포함되었을때 터지는 경우



타마린느 파티가 전멸하는 경우는 광역기 턴 직전에 6타 광역반격을 맞아서 광역기를 2번 연속으로 맞는 경우인데요.
2턴 ~3턴 사이에 6타 반격을 맞고 3턴에 광역기 맞는 경우, 5턴 두번째 R공격 ~ 6턴 광역기 이 사이가 특히 위험합니다.

그런데 PVE 타마린느의 존재의의 자체가 상대가 1대 때릴때 난 2대 3대 때리겠다는 뜻이라 6타 반격을 안맞을 수가 없습니다.
파훼방법은 간단합니다. 타마린느가 2방 연속으로 맞고 2번 다 크리티컬이 터져도 맞고 버티면 됩니다. 3단 보스몹 공격력이 너프되었기 때문에 할만 하더라고요.

제가 체크해봤을때
방어 1450 정도일때 광역기 크리티컬 맞으면 체력 6800 닳았고
방어 1250 정도일때 광역기 크리티컬 맞으면 체력 7500 닳았습니다.
풀피에서 광역기 크리티컬을 2번 연속으로 맞는다고 하면 저 방어력에 2배의 생명력을 챙기면 산다는 소리겠죠. 풀피 기준이니까 실제로는 생명력을 좀 더 넉넉히 챙기면 충분할 겁니다.

당분간 기간테스가 없기 때문에 타마린느세팅에서 저항을 빼셔도 됩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파티에 아우리우스 기사를 포함하는 것입니다.
방어 1100의 타마린느가 아우리우스 30강 기사를 끼고 맞으니 크리티컬을 맞아도 6400밖에 안닳았습니다.




그 방법을 쓰기 위한 방법으론 아우리 기사의 공격력을 올려서 제물도 시키면 됩니다.
스샷은 아밍이지만 모르트면 아밍보다 훨씬 쉽겠죠.


특히나 곧 셰나가 출시됩니다. 셰나는 에픽세븐 공격력1위의 캐릭터입니다.


스샷은 이런식으로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한 짓이고

셰나는 이런 짓 안해도 매우 쉽게 아우리도 끼면서 생방도 챙기고 제물자리도 가져갈 수 있을겁니다.



2. 이세 타마 찰스 +@(제물)


이세 타마가 유틸을 제공해주고 찰스가 전열에서 맞고 버티고 공격도 하는 구성입니다.
굳이 찰스를 딜러로 언급하는 이유는, 3단 보스몹 데미지가 약해져서 풀 기사이기만 하면 생방이 높지 않아도 충분히 버텨지는데다가
찰스는 딜이 좀 나오는 캐릭터이기도 하며, 키운 분들도 많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스펙 맞추는 방법
타마린느 세팅
- 말했던 대로 튼튼하게, 제물을 공높 아우리 기사를 쓰면 다소 덜 튼튼해도 됩니다

이세리아 세팅
- 빠르면 좋은데 찰스가 아주 느린 경우, 찰스의 첫턴보다 이세리아 2번째 턴이 먼저 오게 된다면, 아직 스킬 쓴 캐릭터가 타마린느밖에 없으므로 이세리아의 2스는 무조건 타마린느에게 들어가게 됩니다. 이 경우에 타마린느는 마지라하를 끼면 안 됩니다. 대충 찰스속도 x2 + 10 이 정도 하면 될겁니다. 찰스의 기본속은 109입니다.
아니면 마지라하 행게 차이마저도 무시할만큼 이세리아가 빨라도 됩니다. 이건 이세가 타마보다 한 50은 빨라야 할 거예요.
- 아티팩트는 별의노래 추천

찰스 경 세팅




이 정도까지 생방을 내렸는데도 아우리 없이 충분히 버텼습니다.
단지 아티에 뎀감16%가 있으니 그거 감안해서 여기서 생명력x1.19해주면 13600이네요.

이거보다도 더 낮아도 된다는 뜻이니까 테스트해보시고 버틸만하면 그냥 쓰세요.


스샷에서 보는대로 찰스는 반격찰스일 필요가 없습니다. 보검도 아니어도 되고요.
스토마쿠스 전용으로 찰스를 세팅하실거라면 스샷처럼 분노셋이나 파멸셋같은거 끼우고 딜 높여서 쓰시는걸 권장합니다.


스토마쿠스한테 맞아봐야 8방인데 그 중 반격해봤자 평균적으로 3번 정도일거고 그만큼 때리는 것보단 스펙좋은게 낫습니다.




+@(제물) 세팅

제물이 공높기사인 경우
공격력 생명력 올리고 아우리 끼우고 맨 뒤에 적당히 갖다놓으면 됩니다. 셰나 나오고 나서 셰나로 하시면 세팅이 매우 쉬우실 거예요.




이런방식이면 됩니다.



제물이 딜러인 경우.
타마 저항없이 생방만 올린다 치면 엄청 빡세지 않기 때문에 추천은 이쪽입니다.

찰스보다 공격력 높게 세팅하고 치명 맞추면 됩니다.

데미지 센 딜러 아무나 들어가도 되지만 제가 추천하는건 에르발렌인데요.




어차피 제물에겐 딜할 기회가 많이 돌아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몇 안되는 딜 기회에 한방한방 딜을 엄청 세게 넣을 수 있는 캐릭터입니다. 운좋으면 반격도 치고요.



2-1. 풀자동 세팅 추천
타마린느 - 생방 광역기2연타 버틸만큼 튼튼히. 아티팩트 가희(제물딜러를 땡길 수 있음) (마지라하는 쓰면 안됨)
찰스 - 가능한 한 느리게. 딜세팅. 반격보검 어느쪽이든 ok.
이세리아 - 찰스 속도x2 + 10 이 정도 속도 챙기길 추천. 아티팩트 별의노래.
제물용 딜러 - 평범한 딜세팅. 속도는 필요없어요.


첫턴 잘돌아가게 만들고 싶은게 아니라 대충 1인분 하는게 목표라면 그냥 자리만 구성해놓으면 알아서 싸울겁니다.


2-2. 첫턴 반자동
첫턴에 이세리아 2스킬만 톡톡 쳐서 써주고 그 뒤로 풀자동하는 겁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 속도합을 하나도 맞추지 않아도 괜찮다. + 딜이 더 잘나온다. + 타마린느 아티팩트가 가희가 아니어도 된다.(마지라하ok.)
단점은 - 귀찮음...

이 방법을 쓰게 되면 당장 이타찰제물 4개 넣고 속도합 고민할 필요없이 그냥 돌리시면 됩니다. 최소한의 생방만 된다면 딜이 나올거예요.

제가 가장 많은 데미지를 뽑은 방법이 이 방법이었습니다.
첫턴 반자동 + 분노찰스. 130만딜.



2-3. 타마는 있는데 이세가 없어요.


의지드 - 시더 - 타마 - 공높 풀기사


이 구성에서 맨앞 풀기사가 찰스면 나중에 깨어나서 공격도 할 수 있을 겁니다.

이 파티조합은
의지드의 속벞과 타마린느의 마지라하를 이용해서 행증을 최대한 빨리 땡겨서 가능한 빨리 변신하게 만들고
스킬 끈 상태로  방깍도 넣을 수 있는 시더로 거의 혼자서 때리는 겁니다.




시더 노스작에 이 정도 스펙으로도 1인분딜은 합니다.
적중은 85% 넘겨야 합니다. 방깍 걸어야 하니까.




3. 랏츠&보랏츠 파티.


 

랏츠 파티에 대해선 많은 말을 할 수가 없네요. 제가 랏츠 스킬을 하나도 안 찍었기 때문입니다.
노스작으로 써보려고 했지만 랏츠 2스킬로 무력화된 딜러를 한번에 끌어올 수 없는 상황이 너무 많이 생겨서 딜로스가 너무 많이 생겼습니다.

요약
랏츠 쓸거면 2스킬을 찍자.
랏츠로 땡겨야 할 무력화받은 딜러 생방이 광역기 1대맞고 체력 반가까이 나갈만큼 생방이 낮아야 된다.
무력화 딜러가 조금만 튼튼해져도 랏츠는 아무것도 안하는 캐릭터가 됩니다.





다만 노스작으로도 쓸만한 상황을 만들어 볼법하다 싶었던 파티는 이겁니다.

맨 앞에 찰스를 세우고 찰스가 전열딜을 맞으니 랏츠의 2스킬 타겟팅도 아마 찰스가 높은확률로 될 것이며

모자란 행증은 헬가의 2스킬로 찰스를 살짝 땡겨오는 방법이었습니다.







보랏츠를 튼튼하게 만들어서 광역기 2대 맞는다고 터지지 않게 만들고.
보랏츠와 딜러 외 2명을 기사or정령사로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스샷의 생방보다는 더 튼튼하게 만들고 싶었습니다.

보랏츠의 2스킬은 기사/정령사가 아닌 캐릭터를 우선적으로 타겟팅하므로
보랏츠의 2스킬을 찍어두었다면 ) 사용하는 즉시 딜러가 무력화에서 탈출합니다.

보랏이 노스작이라면 80%밖에 못 땡기기 때문에 랏츠와 마찬가지로 의미 없는 조합이 됩니다.
보랏츠 추천아티는 정숨이지만 타그헬 써도 파티가 돌아는 갑니다.

만약 보랏을 극속도로 아레나에서 쓰고 있는 플레이어라면 생방문제로 쓸 수 없을수도 있습니다.





응용방법들
보랏이 사수인 랑디만 2스킬로 타겟팅하게 만들고
랑디는 혈옥수로 파티 체력을 메꾸며
나머지 2자리 중 1개는 기사이거나 정령사여야 하므로 기사이면서 방깍을 걸 수 있는 매루리(느리게 세팅함)를 넣고

나머지 1자리는.. 선택지가 많지는 않네요.




5. 로앤나
2가희 이세타마로앤나+딜러가 유명한 조합중 하나죠.
가희 2개 다 있고 로앤나 스펙 되시는 분들은 해 보세요.

타마가 한방에 딜러를 땡기려면 가희도 15강 + 24강이어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잘못알고 있는 것일수도 있음.)

전 가희가 1개박에 없어서 테스트를 못해봣습니다.



추천 조합
영상의 로앤나는 1700방 23000체력입니다. 6-7턴 즈음에 전멸햇습니다.

이 파티의 작동원리는 이렇습니다.
시더 - 무력화 받음.
의지드 - 3스로 시더를 땡김. 리안나 착용
헬가 - 4풀 파티면 2스가 공높은 캐릭터 땡김.
로엔나 - 가희로 시더를 땡김.

시더가 깨어나면 더스트데빌 막 터트려서 6타 쳐서 반격맞고 로앤나패시브로 체력을 복구.


옛날에 이런 파티를 본 기억이 있어서 따라해봤습니다. 낮은 스펙으로도 어느정도 돌아지네요.
영상의 캐릭터들은 속도 160~170정도에 공격력도 3000전후이고 치피도 250정도입니다. 시더는 노스작이고요.
스펙이 좋으면 100만점은 그냥 뽑겠다 싶었습니다. 추천스펙은 딜러들 200속 넘기고. 공치피도 다 땡기는 겁니다.

이 파티의 장점 - 높은 딜포텐셜. 머라고라 압박이 적음.
이 파티의 단점 - 이거 하나 돌자고 쟤네들 따로 키워야 해? 룬작이 장난이야?

어느정도 고인 사람에게 추천하는 파티입니다.






캐릭터들 정리


 

생방을 올려서 2번맞고 둘다 크리터져도 버틸수 있을만큼의 생방을 확보하면 1자리 차지할 수 있게 됩니다.


아티팩트 - 이세타마 세팅일때 가희가 제물로 쓸 딜러 행게 땡겨올 수 있어서 괜찮고

첫턴에 이세2스킬 조작해줄거라면 마지라하써도 괜찮습니다.

로앤나 2가희 조합쓸거라면 당연히 가희입니다.


이세없이 그냥 쓴다하면 변신타이밍을 빨리 땡겨주는 마지라하가 좋습니다.

생방이 불안하면 만파를 쓸수도 있는데, 첫턴에 이세리아랑 속도 차이 별로 안나면 마지라하 쓴거랑 마찬가지로 살짝 꼬이는 경우가 생길 겁니다.

이세(3스) - 타마(2스) - 이세(2스) -타마(변신)

이 되어야 하는데 만파로 행게 먹어서

타마2번째 턴이 이세보다 먼저오게 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기간테스에 쓰던 이세리아입니다. 생방 문제없고 빠르면 좋고. 별노 꼇고. 적중 다 올렸고.. 그렇습니다.

스토마쿠스는 방깍을 자주 걸수 있는 캐릭터가 방깍담당으로 좋습니다.







전열에 대충 던져놓으면 뭘 어떻게 짜도 된다는 느낌을 받게 만들어준 찰스.

이세타마랑 써서 풀자동 할때는 가능한 한 느리게 만드는게 첫턴 돌아가는 시스템 만들기에는 좋고.

그게 아니라면 속도 빠르면 빠른대로 이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메인딜러가 따로 있고 제물용 딜러를 추가할 경우에 추천하는 에르발렌

 3스가 보스 상대로 워낙에 강해서 공격기회를 조금만 줘도 데미지를 상당량 뽑아주는 캐릭터입니다.

 스샷은 좋은템 꼈는데 이건 테스트용이고 평소엔 안 좋은템 낀 채로 그냥 씁니다. 스작도 안했죠.

 어차피 몇번 때리지도 않을테니까요.


 에르발렌 외에 다른 추천은 유피네입니다.

 유피네 생방을 낮춰서 세팅하는데 성공하면 광역기를 맞을때마다 듀랜달로 자기 행게를 직접 땡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골라서 넣을 여유가 있다면 이런 캐릭터를 쓰면 좋다는 뜻이고.

 제물자리는 기본적으로는 자기가 갖고 있는 캐릭터들 중에 풀속이고 딜센거 아무거나 넣으면 됩니다.








기사이면서 방깍을 넣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는 캐릭터입니다.

다만 매루리는 물 원정대에서 고득점을 노리는 경우에 일반적으로는 추천하지 않는 캐릭터입니다.


* 빠르면 6타 반격을 너무 자주 활성화시킨다.
* 그렇다고 느리게 쓰자니 매루리라는 캐릭터의 범용성이 퇴색된다.
* 스토마쿠스는 2턴 방깍도 스스로 풀어버리는 패턴이 있으므로 2턴 방깍의 메리트가 덜하다.

이런 점들 때문입니다.

다만 전열이 로앤나인경우 일부러 6타 반격을 맞으려 하는경우 괜찮게 쓸 수 있습니다.







 

랑디는 혈옥수를 낄 수 있어서 파티 유지력에 엄청 큰 도움이 됩니다.








위에도 스샷이 있는 시더

스킬끄고도 쓸 수 있습니다.

스작을 안해도 돌아가는 시스템에는 영향없이, 딜 차이만 있어서 노스작으로도 얼마든지 쓸 수 있고요.

혼자 딜러로 쓰더라도 방깍 무한으로 걸면서 딜할 수 있다는 점이 특히나 좋습니다.





스샷은 없지만 헬가&의지드

의지드는 스작 룬작을 많이 안해도 된다고 느꼇습니다. 

룬작에 해야겟다라고 느낀건 생퍼붙은것과 3스에 추가행증 붙은 것 정도.


헬가는 방깍관련 룬작만 하면 +15정도에서 끝나지만, 딜이 잘나오는 편이라서 가능하면 룬작을 다 찍어주는 편이

점수상승에 꽤 도움이 됩니다.





 

역시 위에도 스샷이 있는 2랏츠

빠르면 좋지만, 보랏은 빠른것보다 생방이 우선입니다. 정숨 추천하지만 타그헬 써도 돌아는 가고요.

랏츠는 쓸거면 2스 찍고 쓰는게 좋겟다고 100번쯤 생각했네요.

문제는 랏츠는 머라고라를 2스에만 9개나 먹어요. (보랏2스 5개)

댓글 2

  • images
    2021.05.08 11:05 (UTC+0)

    랑디  보랏 매루리 로앤나


    공업은 보랏이 해줘서   타마 안써도 될걸요


    혈옥수 랑디라는 가정하에

    • images
      작성자 2021.05.09 12:44 (UTC+0)

      네 그렇지요.

      만만한게 타마이기 때문에 + 보랏이랑 둘이서 같이 행게 땡기라고 이런 의미로 넣었습니다.

공략 게시판의 글

함께하면 좋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