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브

에픽세븐

OFFICIALMOBILE턴제 RPG스마일게이트홀딩스

공략 게시판

[토벌] 와이번 13단의 기본적인 공략법과 그 매커니즘(수정) [41]

타 카페에 적어둔 글이지만, 스토브에도 올려둡니다.





뉴비분들 봐드릴때, 여전히 리세계정에 별노 없네요 세크 없네요

선별은 꼭 세크를 들고가세요


하는 독을 푸는 사람들이 아직까지도 보여서 적슴당.

뉴비분들 봐드릴때 자꾸만 그런 소리 나오니 스트레스 받아서 그런것도 있음.




요약은 맨 밑으로 내려가시면 있습니다.


밑으로는 음슴체.










1. 와이번 공략시의 주의사항





위는 와이번의 스킬들.

솔직히 하나하나 까봐야 하는 수준으로 난이도가 높은 곳이 아니기 때문에




주의사항은 아래와 같음.


1. 디버프 2개 이상 유지

2. 1페이즈에서 쫄한테 맞고 사망하는 개복치가 되지 않을 것.

3. 와이번 공격시 냉기속성은 43% 대미지 증가

4. 냉기속성이 아닌 영웅이 와이번에게 피격시 30% 대미지 증가

5. 냉기속성이 아닌 영웅이 행동시, 와이번의 행동게이지 20% 증가

6. 와이번한테 맞고 버틸 전열 탱커

7. 보호막을 깰 수 있는 대미지(혹은 안보거나)


중요도는 위 순번대로, 중요도가 제일 높은건 1번, 제일 낮은건 7번.



보면 1번은 알겠는데, 보호막을 깰 수 있는 대미지는 왜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지 의문이 들거임.

보호막 이전에 죽이는 대미지야 쌩뉴비가 내기는 힘들다 쳐도

보호막 깰 딜이 안나오면 바로 다 죽는건데?


왜냐하면, 와이번의 보호막은 걸레짝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알렉사가 슬쩍 건드리기만 해도 다 터져나가서 그럼.






이 공략에 사용한 알렉사와는 전혀 다른 스펙이고

다른 카페에 적어둔 글에서 사용한 알렉사의 스펙이지만

이 알렉사 혼자서도 보호막을 때려 부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

보호막을 깰 스펙의 중요도는 매우 낮음.


근데 다르게 말하면, 난 죽어도 알렉사가 키우기 싫다 하는 분들의 경우

보호막을 깰 스펙의 중요도는 올라감. 참고.


그리고 냉기속성 이외의 영웅이 행동시 와이번의 행동게이지가 20%씩 증가하는게 우선순위가 상당히 낮은데

그 이유는 디버퍼쪽에서 후술하겠음.








2. 각 영웅별 스텟 우선순위


단순히 와이번 스킬만이 아니라, 각 영웅들이 어떤 스킬을 가지고 있고

그게 와이번에서 어찌 작동하느냐에 대한 이해도가 좀 있어야됨.

특히 디버퍼


2-1. 퓨리우스


머라고라 10개, 친밀작시 7개로 덱압축을 시켜주는 영웅.

퓨리우스를 다른 애들로 대체하고 머라고라를 안쓰고도 돌릴 수야 있는데

그러려면 템 스펙이 뉴비라고 하기엔 좀 많이 동떨어진 스펙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얘의 경우는 그냥 머라고라를 7개 투자하는걸 추천.

2스킬을 우선적으로 찍고, 3스킬 마지막 확률업은 친밀작 이후 스작.


와이번에서 사용하는 다른 디버퍼 및 딜러들은

얘의 속도에 맞춰서 속도를 맞춰주는게 좋다.


템이 좀 잘 나와서 퓨리우스의 속도가 220 가까이 나온다면

그때 가서 딜러들의 속도를 183~190 이상 찍어주면 좋고

퓨리우스의 속도가 200 언저리거나 190정도면

딜러 및 디버퍼도 그에 맞춰서 떨어뜨리면 좋다.


퓨리우스가 와이번 첫턴에 3스킬을 때려박는게 공략의 핵심 조건중 하나기 때문.


우선순위로 잡을 스텟은

1. 속도(190~)

2. 효과적중 65


딱 두가지만 신경써주면 된다.


아티펙트로는 별의 노래를 많이 추천하는데

있으면 정말 좋지만, 없다고 해서 돌 수 없다던지 하는 큰 문제는 없다.

이유는 후술




2-2. 전열 탱커


물속성 기사직업군이면 누구나 가능하다.

다만, 바터스를 기용하는게 아니라면 이제라의 성검이 사실상 강요되기 때문에

크로제를 기용했을 때에 한정해서 위 주의사항의 2번.

1페이즈에서 아군이 급사하는걸 막아줄 수 있다.


크로제는 2스킬로 방어력 증가 버프와 보호막을 씌워주는데다

와이번 페이즈에서도 그걸 이용해 아우리우스를 착용시켜 아군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


뉴비에게 제일 추천하는 캐릭터는 1순위로 크로제.

2순위로는 로제.

그 외 나머지.(2성짜리 쥐돌이도 탱킹이 가능하다.)


우선순위로 할 스텟은 다른거 없다.

생방만 챙기자.

생명셋 돌아온 수호자의 XX 6셋만 껴주면 된다.

일명 리버스셋.


크로제 효적이나 효저 챙겨야하는거 하님? 하시는 분들도 가끔 계시는데

단. 1%도. 안챙겨도. 되니까.

그냥 리버스 생 6셋을 끼자.


로제의 경우도 1페이즈 첫턴 공격력 증가 버프를 아군에게 씌워주니 되게 괜찮긴 한데

뉴비가 그 이득을 보긴 힘들기 때문에, 뉴비 기준으로는 다른 애들이랑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2순위로 치고 올라온 이유는 와이번 13단 돌면서 속셋 파밍이 좀 된 이후에

장비를 갈아엎어준 이후에 사용하면 효율이 상당히 좋기 때문.


대장 퍼지스는? 0순위.

나오면 그냥 절하고 쓰시면 됩니다.


다만, 대장 퍼지스를 기용하는 경우

퓨리우스부터 시작해서 다른 캐릭터들의 요구스텟이 기존과 다르다.






2-3. 알렉사


사실상 가성비면으로 알렉사가 빠지기가 힘들다.

그리고 얘를 순수 딜러로만 보는 사람들도 많은데

스펙이 안되는 뉴비 기준으로는 순수 딜러로 쓸 캐릭이 아님.


물론 어느정도 스펙이 쌓이면 순수 딜러로 쓸 수 있으며, 그게 효율이 더 좋은게 맞지만

뉴비는 그 스펙이 나올 수 있는지 없는지 누구도 확신할 수 없음.

그리고 뉴비면 뉴비일수록, 순수 딜러로 활용하는게 아니라

디버퍼의 역할도 같이 수행하도록 세팅을 맞추는게 훨씬 좋다.


여러 공략에서 "일정 속도(183가량) 잡고 치명 피해를 집중적으로 찍어서 300 이상 찍어주세요"

하는걸 많이 봤고, 그걸 곧이 곧대로 믿고 다른 뉴비들한테도 그리 추천하는것도 많이 봤는데

정작 모든 뉴비분들이 그게 가능할지 아닐지는 아무도 모름.


"교복셋으로도 되던데요?"

하기엔 다른 계정이 그 교복셋을 강화했을 때, 그 부옵이 어찌 붙을지 아무도 모름.

특히나 치명피해는.

그게 속도와 함께 붙어있는 교복셋은 극히 적으며

제대로 붙을지 안붙을지도 아무도 모르는데다

행여나 리세계를 구매한 유저들의 경우

해당 닉시드 파멸셋을 구하기 전에 이미 와이번에 진입하는 단계에 있는게 문제.


당장에 제 부계도 닉시드 파멸셋도 없고, 현재 가진 템으로 속도랑 치명피해를 같이 올리는게 불가능하며

아즈마칼리스를 매주 돌아야해서 파밍까지 아직 한참 멀었음.


때문에 추천해주기가 꺼려짐.



하지만, 치명피해가 아닌 스텟은 잡아주기가 나름 수월하며

개중에 효과적중은 아레나에서도 세트도 팔고, 각 교복셋에 함정처럼 한두개씩 껴있는게 기본이라

맞춰주기가 편함.


그래서 뉴비들은 우선순위를

1. 속도 170 이상. 속도주옵 신발 하나로 해결가능

2. 효과적중 65 언저리. 55~60이여도 상관없음. 셋옵 하나로 20% 채울 수 있음.

3. 나머지 공격력 혹은 치명피해중 올릴 수 있는 스텟을 올릴 것.

4. 3스킬 강화시 쿨타임 감소 이상은 절대로 찍지 말 것.


이렇게 잡아주고, 딜러 겸 디버퍼로 운용하면 되겠음.


2턴간 2중독은 굉장히 좋은 디버프며(최대 체력의 20%)

본인의 행동게이지를 30% 증가시켜주기까지 해서 속도의 부담을 좀 낮춰주기까지 함.

여담으로, 중독은 턴 시작시 1턴씩 빠지지만

사라지는 그 순간에도 디버프 갯수가 충족된걸로 인식하기 때문에, 와이번이 전열만 때린다.



그리고 많은 질문중에 "알렉사는 6성 찍어야됨?"이 있는데 그에 대한 답변은 "모름"임.

왜냐면, 저는 다른 뉴비분들이 교복셋을 강화했을때 갓템일지 평템일지 쓰레길지 알 수 없기 때문.

교복셋이 잘 붙어서, 혹은 느릿느릿 진행하느라 닉시드 템을 먼저 얻었을 경우

1페이즈가 잘 진행이 된다면 5성으로 진행하더라도 충분함.

그게 아닌 경우 혹은 닉시드 템을 얻었더라도, 이게 망했을 경우

딜 부족으로 1페이즈가 잘 안굴러가는 경우가 나온다면

6성을 가는게 맞음.


그래서 위에 공격력과 치명피해를 얼마 이상 맞추라는 이야기는 하지 않는 것.






2-4. 디버퍼


와이번 공략시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다른 뉴비분들이 가장 많이 착각하는 부분


디버퍼로 미스티체인을 기용하라고 하는 말도 있는데

미스티는 디버퍼로 활용하기가 굉장히 힘들다.


2스킬 하나에 모든 디버프가 쏠려있고 다른 스킬엔 하나도 없는데

3턴간 디버프를 거는게 아니라, 단 2턴만 디버프를 걸기 때문에

와이번이 총 3번 행동하는동안, 1턴이 필연적으로 비어버림.

그 1턴간 디버프 유지가 안되기 때문에 후열이 맞는다는 이야기.


뉴비들은 스펙 때문에 알렉사가 반 필수인데

알렉사와 같이 기용하게 되는 경우 이 문제가 더 크게 다가옴.

알렉사는 2스킬의 쿨타임이 3턴이기에 스킬이 굴러가는 순서가 3 - 2 - 1 - 1 - 2 순서로 굴러가며

미스티체인도 2스킬의 쿨타임이 3턴이기에 3 - 2 - 1 - 1 - 2 순서로 사용한다.


때문에 와이번 페이즈 들어간 이후

이 둘이 각 턴마다 이걸 번갈아가며 쓰도록 맞춰야만

제대로된 디버프 유지가 가능함.


이게 가능하다면 그대로 써도 되는데

뉴비들 템으로 이게 될지 안될지는 강화가 된 템 상태에 따라 다름.


위에 알렉사처럼 우선순위 스텟을 잡고 찍는게 아니라

퓨리우스까지 합쳐서 이 셋의 스텟을 비교하며 저게 가능하게 만들어야 됨.

템세팅의 난이도가 많이 다르다.


다만, 별의 노래가 있는 경우는 좀 다른데

알렉사와 미스티가 같이 2턴간 중독과 공깍, 회불 디버프를 한순간에 다 걸어버려도

해당 턴을 제외한 나머지 2턴중 한번만 75% 2턴 표적이 박히기만 하면

디버프 유지가 되기 때문임.

두번 다 안걸리는 확률은 매우 낮으니까 그 정도의 전복률은 신경 안써도 됨.


근데 별노 없으면? 어쩌긴 뭘 어쩜

강화운 따라주는거 아니면 전복률 오지게 높아지는 것.



그러면 결국 어떤 영웅이 좋은가?


알렉사가 3턴중 2턴을 중독으로 막아주기 때문에

협공 변수로 인해 와이번의 첫 턴이 비거나 혹은 궁 쓰기 직전 마지막 턴에 디버프가 1개 비게 됨.

이에 상관없이 해당 1턴을 채워줄 수 있는 영웅이 필요함.


대표적인 예시로는

세크레트(평타 2턴간 출혈 2개 각각 30%, 스작시 50%, 전장까지 착용시 70%)

클라릿사(전장 착용시 평타 2턴간 출혈 100%)

바터스(2스킬 2턴간 공격력 감소 100%)

완다(2스킬 2턴간 표적 100%)

도끼병(평타 1턴간 출혈 100%, 전직시 50% 출혈 1개 추가)

하탄(평타 1턴간 명중감소 80%)

셀레스트(평타 1턴간 명중감소 75%)

디에리아(평타 1턴간 명중감소 75%)

등이 있음.


이 중에 클라릿사와 세크레트를 제외하곤 수속성이 아닌데, 다 들어갈 수 있는 캐릭터들이다.

위 주의사항에서 냉기속성 이외의 영웅이 행동시 와이번의 행동게이지 20% 증가가 우선순위가 낮은 이유.


이 부분은 사실 대장 퍼지스를 생각하면 간단한데

대장 퍼지스를 기용하는 이유는

와이번에게 입는 대미지 30% 증가 + 대장 퍼지스 행동시 와이번의 행동게이지 20% 증가

이 두가지 패널티를 씹어먹을만한 장점(2스 풀스작 + 전장시 턴당 아군의 행동게이지 54% 증가)이 있기 때문임.


이 부분은 디버퍼쪽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냉기속성이 와이번에게 입히는 대미지 43% 증가의 이점을 버리고

와이번의 행동게이지 20% 증가라는 패널티.

이 두가지를 상쇄할만한 장점이 있으면 되는 것.


위 주의사항에선 디버프 유지가 최우선이기에, 사실상 그거 하나만 바라봐도 되는데다

그 외의 특출난 장점이 있으면 더 좋은 캐릭이 되는 것임.


개중에 제일 좋은건 바터스(공격력 감소 + 2연타)고, 그 다음 도끼병의 전직인 도끼대장군(더 높은 안정성)

이후 디에리아(행동게이지 증가)와 하탄(5% 더 높은 명중감소) 정도가 되겠음.


완다? 완다는 나중에 Pvp에 쓸 일도 있는데 여기 들어갈때랑 와이번에 쓸때랑 스텟이 완전히 다르며

혹여나 별의 노래를 먹은 경우엔 정말 무의미한 캐릭터가 되어서 제외.


그렇다면 클라릿사랑 세크레트는?

둘 다 수속성이라 이점은 이점대로 챙기고, 저 위 조건에도 부합하는데 왜 제일 좋은 영웅에 들어가지 못함?


왜냐하면, 둘 다 전용장비를 뽑아야만 하는데

반드시 평타 출혈 전장이 나와야만 하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전용장비를 뽑는데 재화 280개가 소모될 수 있어서 그럼.

뉴비는 이거 모으려면 최대 5주를 대기타야됨.

아, 이제라의 성검도 노려야한다구요? 그러면 8주.


특히나 세크레트의 경우엔 스킬 강화까지 해야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큰데

머라고라를 소모해야만 함.

특히나 멋모르고 딜까지 기대하게 된다면, 풀스작까지 가야하는데

풀스작시 머라고라 33개가, 친밀작을 해도 30개가 깨져나감.



웃긴건 머라고라까지 투자를 하고도 안정성에서 바터스 및 도끼대장군한테 밀린다는 점.

심지어 바터스한테는 딜량에서조차 밀린다.

때문에, 노스작으로라도 굴릴 수 있는 클라릿사는 그나마 나은데 비해

세크레트는 최소한 평타 확률 업은 다 찍어야해서

머라고라가 들어간다는 단점 때문에 평가치가 많이 낮다.


원펀덱을 하실거라구요?

원펀덱은 ㅇㅈ

원펀덱은 현재 세크레트의 대체가 없음.




필요한 스텟은

1. 미스티체인, 클라릿사

위 알렉사와 비슷하게 맞춰주면 됨.


클라릿사의 경우 여유가 있다면

알렉사보다 속도 더 높이고 공격력 혹은 치명피해를 더 높여주는 편이 찔끔 더 나을 수 있음.

단, 미스티체인은 별의 노래가 있는 경우에만 기용.



2. 바터스, 디에리아, 도끼병

1. 효과적중 65

2. 낮은 속도. 130~140 사이.

3. 남는 스텟은 공격력과 치명피해

이들의 경우는 디버프를 유지하는게 주 목표이기 때문에

패널티를 가능한한 적게 받으면서 제 역할은 다 할 수 있도록

낮은 속도를 책정해주는게 핵심임.

그리고 낮은 속도를 책정하여 속도를 포기하기에

상대적으로 훨씬 더 높은 공치피를 잡을 수 있음.

최소컷이 얼마임? 하기엔... 뉴비한테는 그런 선택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그냥 높여주시면 됨.




3. 영상으로 확인하는 와이번 공략의 매커니즘




이제는 영상을 보면서 매커니즘을 확인하는 부분임.

부계 스펙도 첨부.








부계 별노 없찐 + 전복 거의 안남


위 스펙을 보고

"공격력을 저렇게 찍는게 아니라 치피를 찍으면 좋은데..." 할텐데

뉴비에겐 그런 선택권이 없음

속도 + 공격력 + 적중은 되는데

속도 + 치명피해 + 적중은 뒤져도 안나와서 찍은 결과물.


물론 몰빵하면 지금보다는 좀 더 치피쪽에 치중되는 세팅이 나오는데

몰빵을 하기엔 심연도 남아있고, 미궁도 매주 돌아야하고, 쫄작도 해야됨.

와이번에서 템들이 대체 언제 나올줄 알고 이걸 몰빵을 함?

몰빵하면 안됨.


아래는 굴러가는 영상임.










영상 1분 지점

그냥 쫄한테 한대 맞았을 뿐인데

아우리우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딜러의 피통이 저기까지 깎여나감.

협공을 맞으면 아우리우스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잘못하면 빈사상태까지 날아감.


주의사항 2번에 적어둔 1페이즈 돌연사가 우선순위가 높은 이유.

전열 기사탱커가 아우리우스가 아닌 한, 그것도 크로제가 아니면

거대 나가 평타 + 협공. 그 단 두대 만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음.


아 퓨리, 알렉사, 혹은 디버퍼 셋중 하나가 이렇게 급사했다?

그 순간 전복나는 확률이 매우 높아짐.(100% 전복은 아님)





영상 1분 25초 지점.

퓨리우스가 첫턴에 3스킬을 사용하고, 이후 알렉사가 2스킬로 중독을 걺.

이 부분에선 바터스가 있건 없건 큰 차이는 없음.

공격력 감소 덕분에 전열 탱커의 부담이 확 줄어드는게 포인트라면 포인트긴 하지만

크로제는 큰 의미 없음.


그리고 별의 노래가 없을 때, 미스티체인을 기용하면 큰일나는 이유중 하나기도 함.

이 순간에 디버프가 몰빵이 되기 때문







영상 2분 지점.

알렉사의 중독이 다 빠지고, 방깍이 하나만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위에서 말한, 3턴중 디버프 유지가 안되는 1턴 지점에서 바터스가 공격력 감소를 걸어 유지하는걸 확인할 수 있음.


다만 이걸로 유지를 해야하는 부분이 첫번째 턴에서 필요하냐냐 마지막 턴에서 필요하냐는 확률적임.

1페이즈에서 협공의 변수가 없다 치면 절대저항이 터져도 앵간해선 첫턴에서 중독을 걸어주기에

마지막 턴에서 공격력 감소를 걸면 됨.


하지만

1페이즈에서 협공의 변수가 생겨서 알렉사가 한 턴을 더 못먹는 경우

첫번째 턴에 평타를 때린 후, 두번째 턴에 중독을 때려박기 때문에

첫번째 턴에서도 변수가 생기지 않도록, 평타 혹은 패시브로 디버프를 걸어

디버프 유지가 가능하게 해주는게 핵심.


별의 노래가 좋다고 하는 이유가, 퓨리우스 혼자서도 이게 가능하도록 만들어주기 때문임.

덱압축이 되니까 좋은 것.


물론, 없더라도 생각보다 큰 문제는 안남. 좀 꼬울뿐이지.

위에 올린 전복률을 보면 알 수 있음.




영상 2분 27초부터.

보호막은 그냥 방깍 하나 걸렸으면 옆에 서브딜인 바터스가 있냐 없냐에 관계없이

그냥 알렉사 혼자서 쉽게쉽게 터트릴 수 있음.


보호막을 깰 수 있는 스펙의 우선순위가 매우 낮은 이유.




4. 마치며





여러 뉴비분들을 봐드릴때마다 느끼는건데

자꾸만 "세크 없네요" "별노 없네요"

이러면서 타마린느와 디지가 있는 계정을 버리라고 종용하거나

타마린느 + 월5성 혹은 한정 + 월5성 계정에다가도 이걸 가지고 트집을 잡으며 버리라고 하는

참 해괴망측한 이야기들이 보여서 적습니다.



다들 행복세븐 하셔요





요약


1. 전열은 기사탱

1순위 크로제 추천

2순위 로제 추천

나머지는 그냥 아무 물속성 기사 박아도 다 돌아감

안젤탱이나 수몽탱은 왠만해선 하지 말 것


대퍼가 나오는 경우, 그냥 절 하고서 바로 박을 것.

대장 퍼지스의 경우, 퓨리우스부터 다른 캐릭터들의 스텟을 해당 글과는 다르게 맞춰줘야 됨.



2. 퓨리우스

속도 190~(속셋+속신 해결)

적중 65 이상(반지 적중주옵으로 해결)



3. 알렉사

속도 170~(속신으로 해결)

적중 65 이상(아레나 적중셋으로 해결)

여유되면 공치피

순수 딜러가 아닌 딜러 겸 디버퍼로 기용



4. 디버퍼

알렉사로 와이번의 3턴중 2턴을 봉쇄하니, 쿨타임 스킬이 아닌 평타나 패시브로 디버프를 걸 수 있으며

머라고라를 소모하지 않는 선에서 남는 한 턴을 유지할 수 있는 캐릭터 추천.


속성 불문


클라릿사는 알렉사와 비슷한 세팅, 여유가 되면 알렉사보다 속도를 더 높이면 좋음

미스티체인은 알렉사와 비슷한 세팅 + 조금 더 느린 속도, 별의 노래가 있는 경우에만 기용

타속성 디버퍼의 경우, 속도는 저속세팅(130~140) + 적중 65, 나머지 공치피


별노 있으면 무조건 좋지만 없어도 클리어에 생각보다 큰 지장은 없음

세크레트는 애정캐나 원펀덱 아니면 안씀

다만 원펀덱의 경우, 세크레트 대체불가




뉴비 아니면 이 글 피료없씀!


끗!









긴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Ps

 


4월 30일에 올라온 밸런스 패치 노트

5월 13일부터 카오스교 도끼 대장군의 평타가 100% 1턴 출혈 + 50% 1턴 출혈에서

75%(광속성 대상 100%) 도발로 바뀌기 때문에

와이번 투입 불가로 바뀝니다.







#와이번

#13단

#뉴비


댓글 41

  • ic-caution

    작성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images
    2021.04.30 07:15 (UTC+0)

    너무감사합니다 항상 와이번 12단계도 너무힘들었는데 13단계도전할 용기를 주셨네요 ㅠㅠ

  • images
    2021.05.03 17:15 (UTC+0)

    세크레트 공략도 써주세요 ㅜㅠ

    • images
      2021.05.04 02:23 (UTC+0)

      epic7#54c2qr처음에 선별로 세크 데려가야 한다는 글을 많이 봐서 리세노가다로 얻고 왔는데 막상 키우고 보니 필요가 없다니 ㅜㅜ

    • images
      작성자 2021.05.04 02:40 (UTC+0)

      인생의허들오픈 직후 데세라 시절, 그 시절에 키워둔 세크가 아까워서 고인물들이 박기 시작했던걸

      "아 세크가 좋대더라" "세크가 필수라더라"

      라고 와전이 되어서 공략이 적히고들 있더라구요.


      이미 뽑으신거, 기사단전 전용으로 키우시거나

      나중에 원펀덱 짜실때 넣으시면 됩디다.

  • images
    2021.05.12 03:16 (UTC+0)

    대퍼 나왔는데 세팅을 어떻게 맞춰야 할까요? 디버퍼는 누구써야 하나요?

    • images
      작성자 2021.05.12 09:10 (UTC+0)

      위와 동일, 스펙만 다르게 맞추면 됩니다.

      다만 바터스가 제일 안정적인건 변함이 없긴 하지만요.


      속도 순서는 퓨리 - 대퍼 - 알렉사 - 디버퍼가 좋고

      클라릿사의 경우 예외적으로 알렉사보다 빠른 속도가 좋습니다.


      대퍼탱의 경우 알렉사가 2스킬을 와이번한테 박을 일이 없으므로 스킬은 끄고 돌리는게 좋으며

      바터스를 기용하는게 아닌 한, "내가 뒤지기 전에 와이번을 반드시 찢어버리게따"가 최고 중요 포인트기 때문에

      별의 노래가 없더라도 알렉사의 스펙이 충분하다는 가정 하 미스티체인도 기용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1페이즈에서 미스티가 2스킬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점.


      퓨리우스도 턴을 첫번째로 잡는게 중요하긴 하지만

      딜러들과 속도가 너무 차이가 나게 되면 1페이즈에서 3스킬을 낭비하게 되므로

      대퍼보다 10~15정도만 빠른 속도를 잡아주시는게 중요합니다.

      만약 대퍼의 속도 140이라면, 퓨리는 150~155정도인 식으로.


      대퍼의 경우 속도 조절만 가능한 경우

      에피소드 2 기여도 상점에 나오는 교복셋까지만 착용한 경우로도 대부분 빠른 와이번 클리어가 가능하므로

      굉장히 좋은 탱커중 하나에 속합니다. 안정성이야 좀 떨어지겠지만서도.


      다만 위에 적었듯, 미스티체인의 경우 알렉사가 반드시 높은 스펙이 나와줘야 한다는 가정 하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만약 교복셋 강화가 잘 안되어서 알렉사의 스펙이 높지 않다면 별의 노래가 있더라도 기용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 images
      2021.05.12 18:03 (UTC+0)

      브로냐답변 감사드립니다!!!!!

  • images
    2021.05.14 12:34 (UTC+0)

    브로냐 계승자님 안녕하세요오~
    GM 안젤리카 인사드립니다아~ m(*бωб)m

    4월 BEST 공략에 선정되셨어요오~
    축하드립니다아~!! (๑•̀∀•́)و

    소정의 보상으로 하늘석 500개를 드리오니,

    [4월 BEST 공략 & 팬아트 당첨자 발표] 게시글을 참고하시어,

    1:1 문의 부탁드립니다아~


    앞으로도 에픽세븐을 많이 사랑해주시어요오~!
    감사합니다아~!💕

  • images
    2021.05.15 01:29 (UTC+0)

    좋은 공략 감사합니다!!!

  • images
    2021.05.15 15:55 (UTC+0)

    와 ㅠㅠ 진짜 지금의 저에게 꼭 필요한 친절하고도 섬세한 공략입니다!! 감사해요!! 

    깡성약 월광나오실 거에여!!

  • images
    2021.06.01 08:08 (UTC+0)

    질문있습니다 전열탱커를 안젤리카로 쓰려고 하는데(안젤리카를 이미 뽑았습니다) 안젤리카 장비도 전열 탱커와 동일하게 맞추면 똑같이 돌아갈까요?

    • images
      작성자 2021.06.02 00:59 (UTC+0)

      마지하라 혹은 아마릴 장착 후 여기에 나온 전열 탱커와 똑같이 리버스 생셋 6개 착용하시면 됩니다...만

      신발 파밍할 여유가 있다면 신발은 속신을 챙겨주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원체 변수가 많아서 안정성이 떨어지다보니 애정캐가 아닌 한 안넣는게 좋스빈다.

  • images
    2021.06.17 08:29 (UTC+0)

    세크 없으면 바터스 사용하면 되는거죠??

    • images
      2021.06.17 15:20 (UTC+0)

      브로냐아하!! 그렇군요 그러면 제가 덱을 짤 때 퓨리우스 바터스 알렉사 크로제 이렇게 하는게 가장 좋은거죠??

      근데 혹시 제가 이미 안젤을 조금 키워놨는데 사용하기에 안정성이 많이 떨어지나요?

    • images
      작성자 2021.06.19 10:22 (UTC+0)

      호달참안정성이야 크로제가 넘사벽이긴 하지만서도, 나중에 클탐을 좀 더 줄이기 위해 로제나 대퍼로 어차피 갈아탈거라

      육성효율을 신경쓴다면, 이미 안젤을 6성 찍어두신거면 전복 좀 나더라도 대충 쓰시는게 낫긴 낫습니다.

      크로제도 특정 세팅하고 실레나에 가끔 투입되기도 하지만 그건 그때 키우면 되는거고.

  • images
    2021.06.18 00:37 (UTC+0)

    안젤탱 비추하시는게 협공때 뒤에 딜러진들 터져서 그런건지 궁금해요

    지금 안젤,크로제 둘중에 고민중이라 ㅇㅁㅇ

    • images
      2021.06.18 00:49 (UTC+0)

      아 위에 댓글에 적어주셨내 감사합니다 ㅇㅁㅇ

    • images
      작성자 2021.06.18 03:31 (UTC+0)

      빙귀별노 있건없건 바터스가 안정적이긴 제일 안정적.

      나중에 클탐 줄일때도 1분 10~30초 선까지 줄일 수 있어서 그냥 넣음 편합니다.

      안젤은 그냥 생방딸려, 용증 이외에 차서 안정성 높일 아티도 딱히 없어, 그렇다고 기사처럼 아군 보호가 되는것도 아닌데다 가희는 가희대로 아군 스펙들이 높아지지 않으면 1페 변수까지 생깁니다.

      고래서 고럼

  • images
    2021.06.22 07:01 (UTC+0)

    세크 뽑고 신나서 6성 풀각에

    머라고라 잔뜩 먹이고 왔는데 

    이 글을 이제보네요..ㅎㅎㅎㅎㅎㅎㅎ

    하..딮빡

    정보 고맙습니다 

    이제 덱은 준비된것 같은 뉴비인데

    슬슬 도전해봐야겠습니다 ㅎㅎ

    • images
      작성자 2021.07.14 23:36 (UTC+0)


      이미 키우신거면 일단 넣으시고, 나중에 기사단용도로 쓰시면 되긴 합디다.

      ;ㅅ;

  • images
    2021.07.14 10:06 (UTC+0)

    안녕하세요 1주된 에린이 입니다.

    오늘 해변의 벨로나랑 아티를 먹게 되었는데요

    해로나를 13단에 사용한다면 어떻게 조합하는게 좋을까요?


    덱상태는 와이번용으로 퓨리(별노)/알렉사/안젤/크로제/클로에/로제/미스티체인가 있고 세크/클라/바터스 는 없네요

    • images
      작성자 2021.07.14 23:40 (UTC+0)

      전열 크로제 or 로제

      알렉사 퓨리 ㅆㅂㄹ...아니 해밸 박으시면 됩디다.


      다만 이 경우 해밸이 3스킬과 2스킬을 1페이즈에서 전부 쏟아내기에

      위의 영상과는 달리 퓨리우스가 1페이즈에서 3턴 이상 먹지 않을 스펙을 조절 할 수 있는게 중요해지며

      1페이즈를 빠르게 커팅 할 스펙이 되는게 포인트.

      다만 요즘 보급품이 좀 많이 좋아져서 힘들진 않으실겁디다.


      속도는 알렉사보다 해밸이 더 빠르면 훨씬 좋지만

      추후 Pvp 세팅을 시작하게 되면 알렉사보다 느려질 수 밖에 없으니

      그 시점에서는 알렉사의 공치피 스펙을 높게 맞추고, 알렉사는 스킬을 끄는게 좋스빈다.

  • images
    2021.08.09 13:58 (UTC+0)


  • images
    2021.08.24 16:05 (UTC+0)

    와이번 공략중에 거의 최고인거 같네요

    아쉬운건 전 디지 쓰고 있는데 언급이 없네요

    디지도 좋아요 ㅎㅎ

    • images
      작성자 2021.08.25 04:39 (UTC+0)

      걔는 저 위에 적힌 애들한테도 비비기 힘들 정도로 낮은 위치에 있어서...

      와이번 기준으로 뉴비가 쓰기에도 힘들고, 어느정도 고인 시점에서 쓰기에도 스펙을 일부러 낮추고 돌려야하는 캐릭이라서 그래옹..

    • images
      2021.08.25 05:27 (UTC+0)

      브로냐아 확실히 그러네요
      전 전복률 낮춰볼려고 쓰기는 하는데 스펙만 높으면 다른거 써서 빨리 끝내는게 낫겠네요
      뉴비는 굳이 구하지 않는 이상 있지도 않고..

      많이 배워갑니다

  • images
    2021.08.24 23:28 (UTC+0)

    와이번 와드

  • images
    2021.08.31 08:26 (UTC+0)

    이거 보고 오늘 와이번13단 성공했네요.


    아슬아슬하긴 한데 잘 돌아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공략 게시판의 글

함께하면 좋은글